중동(쿠웨이트) 에너지관련 정책 동향

기본카테고리 | 2016-01-29 오후 1:36:28 | 조회수 : 2386 | 공개

Ⅰ.중동(쿠웨이트) 에너지관련 정책 동향
 
1. 중동지역 동향
 중동지역 국가들의 에너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과거 10년 동안 중동 지역의 에너지 수요는 연평균 5%씩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2.1 쿠웨이트 에너지 경제 구조
 쿠웨이트는 GDP의 65%, 재정수입의 95% 가량을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산유국형 경제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유가의 변동에 따라 경제가 민감하게 변동하는 취약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99년 이후 고유가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재정흑자가 지속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국가개발 프로젝트의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
*고유가에 따른 재정수입 증가로 2013/2014회계연도까지 16년간 연속 대규모 재정흑자가 발생하는 등 양호한 재정건전성을 유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의 도입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사업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석유자원의 활용을 통한 산업 개발은 지속적으로 진행중)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2015년부터 단계적 도입을 통하여 2030년 전체 전력생산량의 15%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목표 수립. 태양광, 풍력을 중심으로 각종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중(다만, 아직 수요관리정책이 적용되지 않고 있으나, 최근 전력요금에 대한 보조금 삭감 등을 검토중)
 
 
2.2. 쿠웨이트 신재생 에너지 정책
 가. 주재국 정부(MEW)는 2015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의 단계적 도입을 통해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부문 전력생산량을 2030년 전체 전력 생산량의 15%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Shagaya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조성 프로젝트 추진중에 있다.
 
*현재 과학연구원, 수전력부, 국영석유기업 등에서 시범사업 위주로 추진중에 있으며, 시범사업 완료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조성에 본격 착수할 계획
*과학연구원(KISR) 및 수전력부(MEW)는 2030년까지 총 22억불, 2,07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프로젝트 추진중
*1단계로 70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시범발전단지 개발 착수 및 2030년까지 향후 2단계에 걸쳐2,000MW 규모로 확대 추진
-1단계 : 총 70MW (10MW풍력, 10MW photoelectric, 50MW CSP)
-2, 3단계 : 각 1,000mw, 2단계는 5년내, 3단계는 10년 내에 완료예정
* 1단계 3개 사업 입찰실시(’13.6, 과학연구원)
* 50MW CSP사업 스페인 Cobra사 수주(’14.3)
* 10MW 풍력사업 Alghanim International/스페인 Elecnor 컨소시엄사 (입찰가 25백만불) 수주(’14.6),
* 10MW PV solar 사업은 1위 스페인 TSK Electronica조인트벤처사($19.8m). 2위는 스페인 Maetel 컨소시엄($20.2m) 수주자 선정 검토중
 
 
나. Abdaliya 민자 태양광복합발전소 건립사업 추진
 
*민자사업청(PTB)과 수전력부(MEW)는 Abdaliya 서측 지역에 280MW 규모 Solar Combined 민자발전소 건립 추진
*ISCC(intergrated solar combined cycle power) 플랜트 등 포함, 총 30억불 규모, 민자사업자, 수전력부간 전력구매계약 등 BOT 베이스로 25년간 운영예정
-英 HSBC 금융자문사로 선정(’13.9), PTB 관심기업 참여의향서(EoI) 초청(’14.5)
 
 
다. 20GW 규모 세계최대 신재생에너지파크 검토
 
*쿠웨이트시청 및 과학연구원(KISR)은 쿠웨이트시티 서측에 세계 최대20GW 규모 신재생에너지 파크 건설방안 검토(’14.6)
 
 
라. Rooftop PV Solar 패널 설치 시범사업
 
*쿠웨이트 과학진흥재단(KFAS : Kuwait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s)는 주택 150개소 대상 솔라 패널 실시계획
*1단계로 2014~2016년간 주택 50개소 설치사업 추진. 총 전력생산량 2~3MW 수준. 약 2백만KD(710만불) 예산 소요 예정
 
 
마. 국영원유회사(KOC) Solar Power Plant 추진
*유정 물주입 시설에 쿠웨이트 최초상업용 photovoltaic plant 설치, 28백만불 규모. 스페인 Gestamp사 수주(’14.7월). 2015년 완공예정
*유정에 주입하는 물을 데우고, 스팀을 발생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공급 예정. 연간 17,600MWh전력생산, 9,100톤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
 
 
바. Kabd Municipality Solid Waste 민자사업
*waste to energy 프로젝트로서, 일 3천톤 처리규모.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며, 25년간 PPA 구매계약,프로젝트 설계·건설 4년 소요예상
-PTB는 관심기업 EOI 제출 초청(’13.11), PQ실시(’14.5), 현재 PQ 검토중
 
 
현재 쿠웨이트는 석유사업과는 별도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상승에 따른 에너지 소비 완화를 위해 주변 중동국과 같이 높은 석유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정책 기반을 다지고 있는 중이다.
3. 사우디아라비아 동향(참고)
 
-사우디는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러시아에 이어 세계 6위의 석유 소비국이지만, 1인당 소비는 미국의 1.6배, 일본의 2.8배에 이름. 
 
-사우디의 석유소비(3백만b/d)는 이미 인도 수준(3.6백만b/d)에 육박하고 있음. UAE는 세계 7위 가스 매장국이지만 이미 가스 순수입국으로 전락했고(2012년 생산 51.7Bcm, 소비 62.9Bcm), 쿠웨이트는 여름기간 동안만 LNG를 수입했는데 최근에는 연중 가스를 수입(2012년 생산 14.5Bcm, 소비17.2Bcm)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음. 
 
- 사우디 투자회사 Jadwa Investment 보고서에 의하면, 사우디의 석유소비량은 2030년에 6.5백만b/d로 증가하고, 원유 수출량은 4.9백만b/d(2005년 7.5백만b/d)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 사우디의 경우 낮은 전기료가 유지되어 에너지 절약 유인책이 없으며 이것이 전체 전력수요의 증가 원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 Jadwa Investment는 사우디가 빠르면 2014년에 재정적자 국가로 될 것으로 전망했음. 이것이 현실화된다면 사우디는 석유가격을 인상하려고 할 것임. 
 
- 정부의 에너지정책에 따라 가스수요는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4-2020기간중 연평균 7.8% 증가 전망
 
 
3.2 사우디 아라비아 에너지 관련 정책
 
가. 정부는 수출용 석유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효율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나. 원전 및 재생에너지 공급 : 2032년까지 원전 및 태양에너지 발전 등 비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50%까지 확충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 에너지효율향상 : 에어콘 효율등급제, 자동차연료등급제 등 에너지효율향상을 위한 사우디에너지효율 프로그램을 수립 추진
 
라. 전력시장 개편 : 정부는 매년 3,000-4,000 MW 규모의 발전설비를 확충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외국 자본을 전력시장에 참여시키는 한편, 발전, 배전 및 송전 부문을 전력청에서 분사할 예정임
 
마. 재생에너지 확대 : K.A.CARE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현재 100%에서 50%로 줄이겠다는 사우디 에너지 믹스를 계획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낮은 에너지 가격에 따라 국민들의 에너지 과소비 성향과 여름철 에어콘 보급 확대 및 물 사용 증가(해수 담수화를 위한 전력사용)에 따른 전력수요의 급증 및 인구의 증가에 따라 에너지 소비 급증세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동 국가는 에너지 과소비 및 빠른 소비 증가세에 따라 석유·가스 수출여력감소, 재정수지 악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부문에 대한 투자 증대, 재생에너지 개발, 원전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4. 소결 - 중동지역 에너지 정책 동향
 
가. 경제의 바탕이 되는 1차 에너지의 소비 과다에 따른 소비경향 분산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2차 에너지 개발 증진을 위해 정책적 기반과 산학연개발을 통해 진흥되고 있는 상황이다.
 
나. 기본적으로 중동지역은 고온다습한 기후지역으로 냉방 전력 수요가 크므로(7월경 최대 냉방수요가 발생하며 이는 겨울철 대비 2배 수준으로 편차가 크다.)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다. 일조량이 풍부한 중동국가에서 태양에너지는 이미 차세대 대체에너지로 각광받았으며 이는 곧 중동지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적극적인 추진양상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의무비율 할당제, 조세 감면등의 관련 제도와 같은 정책 기반이 마련되었거나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라. 충분안 오일머니의 비축은 곧 장기간의 투자 회수 기간을 필요로 하는 재생(신재생) 에너지 및 친환경 기술 개발에 안정적인 자금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반은 사막의 강한 태양광을 가지고 있는 중동의 지역 기후 특성에 따라 태양 에너지 발전 산업에 매우 적합하다.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