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병

건강 상식 | 2012-09-18 오후 2:57:06 | 조회수 : 9022 | 공개

부인병 [婦人病, women's diseases ]

부인의 생식기 질환 및 여성호르몬에 의한 신체 이상에 관한 병.

좁은 뜻으로는 여성 생식기에 일어나는 질환의 총칭이다. 여자는 임신과 출산 및 출산한 아기를 기르기 위하여 필요한 수유(授乳)도 한다. 여성의 체내 기관은 이들 목적에 부합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나 자궁의 주기적 변화도 수정이나 수태에 대한 준비체제이며, 월경(생리적 출혈)은 수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떨어져 나온 자궁 내막의 배출이다.

여성이 갖는 특징은, 초경으로 시작하여 청춘기에 들어서고, 그 후 약 30년간 정기적으로 월경이 나타나며, 폐경으로 갱년기를 맞이하는 생리적 연대가 구획되어 있으며. 또한 월경이 있는 연대에 난소 ·자궁의 생리적인 주기성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이다.

여성의 몸은 이상과 같은 독특한 기능과 현상을 영위하고 있는 반면, 이에 관련하여 이상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여성의 질환에는 이들 기관의 이상이나 조직의 변화와 관련된 것이 많다. 성기의 염증이나 종양(腫瘍)도 남성에 비하면 훨씬 많다. 더욱이 그것이 각 연대에 따라 생기기 쉬운 질환에 각각 그 특징이 나타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내과에서 다루는 질환이기는 하나, 호르몬이나 자율신경 실조로 인한 여성 특유의 증세도 부인병이라 한다. 이외에도 불임증 ·비만증 ·피부질환 등의 대표적인 부인병이 있다.

 

 

내용

대체로 산병(産病)과 합쳐서 산부인병이라고 하지만, 임신·분만을 제외한 부인에 관한 병만을 부인병이라 한다. 우리 나라는 남성이 여성을 직접 치료하는 것이 예의에 벗어난 일이라 하여 여성인형을 만들어서 상류계급의 여성이 자기 병의 환부를 지적할 때에는 인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남성이 직접 여성을 치료하는 대안으로 의녀제도(醫女制度)를 두어 치료에 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아무리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유교정신에 젖어 있었다 하더라도 병이 생겨 위급하게 되면 남자 의원에게 보이고 치료를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종실(宗室)의 처자와 같은 지위의 사람은 남의(男醫)의 진료를 받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그대로 있다가 생명을 잃는 일도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의녀제도를 두어 부인에 대한 간단한 의료, 산부인과적 치료 등을 실시하였던 것이다

현대에 와서 여성의 생식기질환은 외음부염증, 임질, 자궁의 섬유근종(纖維筋腫), 자궁의 폴립(polyp), 자궁암, 자궁내막증, 난소의 종양 등이 있다.

 

① 난소종양:주기적인 월경, 임신·수유 및 여성적인 외모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난소가 세포분열하여 커지면서 혹으로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 혹은 대체로 양성이나 간혹 악성인 암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난소의 혹에는 종류가 많으며 양성과 악성으로 대별된다. 양성종양으로는 위점액성낭종·장액성낭종 및 유피낭종 등이 있고, 악성종양으로는 위점액성선암 및 과립막세포암 등이 있다.

② 난관염:대장균·임균·포도상구균·결핵균·연쇄상구균 등 각종 세균이 질에서 경관 및 자궁을 통해 침입하여 난관에 염증을 일으켰을 때 생긴다.

③ 골반복막염:자궁의 양측 난관 및 난소·직장 및 대장과 그 장간막·방광 등 골반 내에 있는 각종 장기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④ 자궁근종:자궁의 근육이 이상증식하여 생기는 양성종양인데, 자궁암과 달리 치명적이지는 않다.

⑤ 자궁내막증:자궁의 내막이 자궁 이외의 장소에서 발육되고 증식되는 것으로, 즉 정상으로는 자궁내강(子宮內腔) 표면을 덮고 있는 내막이 자궁근육 속으로 파고 들어가 혹을 만드는 것을 자궁선근종이라 부르는데, 자궁을 멀리 떠나 난소·나팔관·골반 내 복막에 있는 것을 자궁선근종과 구별하여 자궁내막증이라 한다. ⑥ 자궁경관폴립:자궁경관의 내막이 부분적으로 증식을 하여 튀어나와 있는 것을 말한다.

⑦ 자궁 위치의 이상:자궁이 정상적인 위치를 갖지 않는 모든 경우를 말한다. 자궁이 아래로 처져 있는 것을 자궁하수(子宮下垂)라 하고, 하수보다 더 처져 질구 밖으로 빠져나온 것을 자궁탈출이라 한다. 한편, 뒤쪽으로 구부러진 것을 자궁후굴(子宮後屈)이라 하는데, 이와 반대로 자궁의 발육이 부족한 때에는 강한 자궁의 전굴이 생기며, 좌나 우로 기울어진 것을 자궁우좌경이라고 한다.

⑧ 기능성자궁출혈:종양이나 염증 및 임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어나는 부정출혈을 말한다. 배란은 되면서 출혈하는 경우와 배란 없이 출혈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우리 나라 한방에 있어서 부인병에 관한 것은 ≪향약집성방≫에 상술되어 있다. 즉, 조경문(調經門)·붕루문(崩漏門)·부인제병문(婦人諸病門)·여음문(女陰門)으로 나누어져 설명되어 있다.

또한 산과질병(産科疾病)으로 태교·임신·좌월(坐月)·산난(産難)·산후(産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로 송나라 진자명(陳自明)의 ≪부인양방대전 婦人良方大全≫을 인용하고 있다.

≪동의보감≫의 부인조에 여러 가지 설명이 나오나 주로 산과학(産科學)에 해당된다. 대표적인 부인병을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월수불통(月水不通):혈고(血枯)를 이르는데, 어릴 때에 혈상(血傷)으로 월경이 전혀 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월수는 월경을 뜻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월화(月花)라고도 하였다.

② 월수불리(月水不利):오늘날의 과소월경(過小月經) 또는 희발월경(稀發月經)에 해당된다. ③ 월수부단(月水不斷):오늘날의 과다월경(過多月經)에 해당된다.

④ 붕루(崩漏):부인 생식기의 이상분비증을 말하는데, 단순히 대하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보다 강한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누대(漏帶)라는 말도 이와 비슷한 것이다.

⑤ 혈붕(血崩):대체로 자궁출혈을 뜻하고, 혈루(血漏)란 피가 뚝뚝 떨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⑥ 적백대하(赤白帶下):붉은 빛의 대에 소변이 뿌옇고 음액이 하얀 백대하가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⑦ 음정탈출(陰挺脫出):자궁이 탈(脫)하는 것 또는 질 안이 번(翻)하는 것, 그리고 자궁 안이 번하는 것을 말한다.

⑧ 부인팔가(婦人八瘕):여기에서 가(瘕)는 배 안의 적괴물(積塊物)을 이르는데, 팔가(八瘕)에는 황가 (黃瘕)·청가(靑瘕)·조가(躁瘕)·혈가(血瘕)·지가(脂瘕)·고가(孤瘕)·사가(蛇瘕)·별가(鱉瘕) 등이 속한다. 이들은 부인의 뱃속에 생긴 각종 종양 또는 종창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⑨ 부인적년혈징괴(婦人積年血癥塊):난소낭종과 자궁근종류를 가리키고 있다. 이들 질병 외에 ≪향약집성방≫을 비롯한 의서에는 부인음종(婦人陰腫)·부인음양(婦人陰痒)·부인음창(婦人陰瘡)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우리 나라 한방의서에서의 부인병은 서양의 그것과 분류를 달리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부인질병과 어떻게 대응되는 지도 거의 밝혀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부인병 예방

지압법

주로 넓적다리 안쪽의 지압을 매일 할 것을 권하는 바입니다.

혈해와 삼음교 지압

삼음교의 위치: 안쪽 복사뼈 중앙에서 위로 손가락 4개의 위치에 있을 것이다. 눌러보면 제일 아픈 곳입니다.지압법: 이곳은 양 엄지를 겹쳐서 대고 처음에는 약간 약하게 5초간 , 강하게 5초간 교대로 약 10회 정도 지압해 준다.

 

혈해의 지압:여성의 질환 특히 어혈(瘀血)의 원인이 되는 증상에 효과 있는 경혈입니다.혈해는 비경에 속하는 경혈로 비경은 엄지 발까락에서부터 안쪽 복사뼈 위의 삼음교(三陰交)를 지나 혈해로 통하는 경락이다혈해의 위치: 슬개골(무릎 뼈) 안쪽 위에서 손가락 3개 정도 위에 있을 것이다.지압 법: 이곳도 양 엄지를 겹쳐서 대고 처음은 약하게 5초, 다음은 점차 강하게 5초간씩 약 1분정도 누른다.

 

① 다음은 삼음교에서 혈해까지를 눌러올라간다. 1점에 3초간씩 3회 눌러올라간다.→표 방향으로 누르고 맛사지 좋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②이번에는 혈해에서→ 넓적다리 안쪽 위(음부 부위까지)에까지 눌러간다. 1점에 3초간 3회 눌러준다다리 안쪽의 경락은 아래에서 위로 눌러가는게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즉 경락의 흐름이 아래에서 위로 흐르기 때문임).

③끝으로 엄지 발까락을 30회정도 상하로 움직여 주도록 해 준다.(엄지에는 비경이 시작되는 곳이기 때문임)

 

부인병 민간 요법

1) 냉, 대하증

구절초 : 구절초를 달여서 마신다.

구절초, 냉초, 약쑥 : 이 재료를 달여서 복용한다.

구절초, 생강, 대추 : 이 재료를 달여서 공복에 마신다.

구절초, 수수, 엿기름 : 위 재료를 푹 달여서 먹는다.

국화 : 흰 국화를 달여서 마신다.

돌나물 : 돌나물을 찧어 생즙을 내어 마신다.

무 : 무를 썰어서 삶아 그 물로 뒷물을 한다.

살구씨 : 살구씨 껍질을 까고 볶아서 먹는다.

소금 : 소금을 볶아서 자루에 넣고 음부를 찜질한다.

약쑥 : 약쑥을 달여서 마시거나, 끓는 물에 약쑥을 넣고 김을 음부에 쬔다.

익모초 : 익모초를 즙을 내어 마신다.

익모초, 구절초, 약쑥 : 위 재료를 삶아서 마신다.

익모초, 호박, 대추, 참깨, 밤 : 이 재료를 달여서 환을 지어 먹는다.

익모초, 찹쌀, 밤, 대추, 들깨 : 이 재료를 달여서 먹는다.

장닭, 백도라지, 흰접시꽃 뿌리 : 이 재료를 한솥에 넣고 푹 고아서 고기와 함께 먹는다.

접시꽃, 가시세 뿌리 : 이 재료를 삶아 먹는다.

접시꽂 뿌리, 대싸리 뿌리, 찱줄기 : 이 재료를 삶은 물을 마시거나 뒷물을 한다.

접시꽂 뿌리 : 뿌리를 달여서 마신다.

접시꽃뿌리, 장닭 : 이 재료를 삶아서 먹는다.

창출, 구절초, 익모초, 감초, 대추 : 이 재료를 달여서 먹는다.

2) 생리불순

겨자씨 : 겨자씨를 볶아서 가루내어 1일 3회 한 스픈씩 먹는다.

익모초, 약쑥, 밤, 대추, 생강, 들깨, 찹쌀 : 익모초와 약쑥을 삶은 물에 나머지 재료를 넣고 조청

처럼 달여서 하루에 세 숟가락씩 먹는다.

접시꽃 : 접시꽂을 달여서 마신다.

접시꽂 뿌리, 닭 : 흰 접시꽃 뿌리 약 1 Kg을 닭에다 넣어 삶아 먹는다.

접시꽃, 장닭 : 이 재료를 함께 고아서 먹는다( 냉증에도 좋다.)

접시꽃, 닭, 도라지 : 이 재료를 삶아서 먹는다.

익모초, 대추, 밤, 엄나무 : 이 재료를 달여서 환을 지어 먹는다.

산국화, 금강초, 백도라지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쑥 : 생쑥을 듭을내어 마신다.

익모초, 밤, 대추, 깨, 꿀 : 이 재료를 삶은 물에 꿀을 타서 마신다.

3) 생리통

오골계, 백일홍, 백도라지, 접시꽃 뿌리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잔대, 북어 : 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서 수시로 마신다.

접시꽃 나무, 닭 : 이 재료를 삶아서 먹는다.

뽕나무 뿌리, 가물치 : 뽕나무 뿌리를 삶은 물에 가물치를 넣어 고아서 먹는다.

구절초, 약쑥, 밤, 대추, 생강 : 구절초를 삶은 물에 남은 재료를 넣고 삶아 체에 걸러서 마신다.

4) 손발이 차고 몸이 냉할 때

구절초, 익모초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구절초, 익모초, 약쑥, 밤, 대추, 곶감, 수수, 엿기름 : 이 재료를 삶아서 먹는다.

쇠꼬리, 밤, 생강, 대추, 인삼 : 쇠꼬리 삶은 물에 나머지를 넣고 삶은 후 공복에 먹는다.

5) 유산해서 몸이 아플 때

구기자, 흑설탕, 검은콩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6) 불임증

구절초, 익모초, 쥐손이풀, 민들레 : 이 재료를 삶아 건더기는 건져내고 국물만 끓여 엿처럼 된

것을 환을 지어먹는다.

7) 임신중 감기

무, 마늘 : 무를 썰어 마늘과 함께 푹 달여서 먹는다.

배, 꿀 ,흑설탕 : 배꼭지를 잘라내고 속을 파내어 꿀과 흑설탕을 넗고 끓여서 배 속의 물을 마신다.

배, 생강, 꿀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쪽파뿌리, 배, 생강, 엿, 대추, 곶감, 모과 : 이 재료를 달여서 먹는다.

8) 임신부 빈혈

해삼 : 해삼을 생것으로 먹는다.

홍어 : 홍어를 삶아서 먹는다.

8) 임신중독

호박 : 늙은 호박을 삶아서 먹는다.

9) 산후 복통

감꼭지, 은행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막걸리, 토종꿀 : 막걸리를 데워서 토종꿀과 섞어 마신다.

머루나무 : 머루나무를 달여서 마신다.

잉어 : 잉어를 고아서 먹는다.

콩, 생강, 소주 : 검정콩을 볶아서 가루내어 생강차에 소주를 약간 섞어서 마신다.

10) 산후 요통

솔방울 : 왜솔나무의 송방울을 5-6월에 따두었다가 소주에 재워서 60일이 지나면 조석으로

한잔씩 마신다.

호박, 토끼 : 늙은 호박의 속을 파내고 그 속에 토끼를 넣고 삶아서 호박 속의 물을 마신다.

11) 산후 기침

콩껍질 : 콩껍질을 삶아서 국물을 마신다.

12) 산후 조리가 부실했을 때

무화과 잎 : 무화과 잎을 말려서 삶은 물을 요강에 붓고 앉아서 김을 쏘인다.

막걸리, 꿀 : 막걸리 반되를 끓여 꿀 3스픈을 넣고 마신다.

13) 산후 온 몸이 부을 때

흑설탕, 늙은 호박 : 흑설탕과 호박을 함께 달여서 먹는다.

건홍어, 당귀, 잔대 : 이 재료를 함께 달여서 마신다.

병아리, 잔대 : 약병아리에 잔대를 넣어 고아먹는다.

호박 : 늙은 호박을 삶아서 먹는다.

호박, 밤, 대추, 잔대, 꿀 : 늙은 호뱍을 파내고 그 속에 나머지 재료를 넣고 중탕을 해서 먹는다.

홍어 : 홍어를 고아서 국물만 마신다.

가물치 : 남비에 참기름을 넣고 달구어 가물치를 넣어 달여서 마신다.

닭, 잔대 : 닭 삶은 물에 잔대를 넣고 달여서 마신다.

오갈피나무, 엄나무 : 위 재료를 삶은 물에 밥과 누룩을 섞어서 술에 넣고 밥알이 떠오르면

끓여서 마신다.

익모초, 밤, 대추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잔대, 희접시꽃 뿌리, 황설탕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진들찰 열매 : 말린 열매를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호박 : 호박을 삶아서 먹는다.

호박, 꿀 : 늙은 호박을 속을 파내고 꿀 한컵을 넣어 중탕을 해서 먹는다.

들깨, 참기름 : 들깨를 갈아서 참기름을 넣고 팔팔 끓여 먹는다.

인삼, 황기, 검은깨, 대추 : 이 재료를 달여서 1일 3회 한컵씩 마신다.

장닭, 잔대 : 이 재료를 삶아서 먹는다.

14) 출산후 항문의 통증

계란 : 계란 노른자를 까맣게 태우면 기름이 나온다. 이 기름을 솜에 묻혀서 항문에 끼운다.

15) 산후 변비

백자인, 도인, 송잣, 행인, 욱리인, 귤껍질

: 이 재료를 삶아서 찐후 귤껍질을 가루로 해서 환을 지어 먹는다.

16) 하 혈

갑오징어 뼈, 먹물 : 갑오징어 뼈를 갈아서 먹물에 개어 먹는다.

녹각 : 녹각을 달여서 먹는다.

문어 : 문어를 생으로 먹는다.

솔잎, 쑥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약쑥, 익모초, 대추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연근 : 연근을 찧어서 생즙을 내어 마신다.

접시꽃뿌리, 닭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오이풀(외나물, 지우초) : 지우초를 달여서 마신다.

측백나무 : 측백나무를 찧어서 생즙을 내어 마시거나 삶아서 마신다.

치자 : 치자를 물에 넣어 두었다가 우러난 물을 마신다.

17) 산모의 젖 부족

다시마, 계란, 된장, 찹쌀 : 이 재료를 섞어서 죽을 쑤어 먹는다.

돼지발 : 돼지발을 고아서 먹는다.

돼지발, 상추씨 : 돼지발 4개에 상추씨 1근을 달여서 먹는다.

돼지발, 땅콩 : 돼지발 1개와 땅콩 1근을 고아서 먹는다.

된장, 찹쌀 : 된장국을 끊여서 찹쌀을 넣고 밥처름 해서 먹는다.

잉어 : 잉어을 고아서 먹는다.

잉어, 땅콩 : 잉어에 땅콩을 넣고 고아서 먹는다.

팥 : 팥을 삶아서 먹는다.

18) 젖 몸살

개암열매 : 개암열매를 껍질을 벗기고 젖을 짜서 넣고 같이 찧어서 붙인다.

마, 붕어 : 마와 붕어를 함께 달여서 마신다.

백년초 : 백년초의 껍질을 벗기로 곱게 찧어 붙인다.

선인장 : 선인장을 찧어서 붙인다.

선인장, 대추 : 선인장가시를 제거하고 대추와 함께 찧어서 붙인다.

수선화 뿌리 : 수선화 뿌리를 찧어서 붙인다.

19) 젖 안나오게

엿기름 : 엿기름을 끓여서 먹는다.

콩나물, 엿기름 : 콩나물을 찧어서 젖에 붙이고, 엿기름을 가루로 해서 조금씩 물에 타 먹는다.

20) 유방 부스럼

콩, 참기름 : 콩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른다.

21) 젖 몽우리 생길 때

콩나물 : 콩나물의 머리를 찧어서 붙인다.

22) 유방암

미꾸라지, 흑설탕 : 미꾸라지를 찧어서 흑설탕에 섞어 환부에 붙인다.

23) 자궁이 아플 때 : 옥수수 수염을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

24) 자궁 염증

선인장 : 선인장을 찧어서 생즙을 내서 마신다.

오이풀 : 말린 오리풀을 달여서 먹는다.

25) 자궁암

밤나무, 도토리나무, 대추나무, 뽕나무 : 이 나무가지들을 푹 삶아서 마신다.

비자나무, 화살나무(참빗나무)

: 참빗나무 삶은 물을 마시거나 비자껍질을 벗기고 속 알맹이를 찧어서 먹는다.

쇠비름잎 : 말린 쇠비름을 삶아서 마신다.

칡덩굴 껍질 : 묵은 칡덩굴 껍질을 달여서 마신다.

26) 자궁이 약할 때

설모초 : 설모초를 달여서 마신다.

27) 음부소양증

복숭아 씨 : 복숭아 씨 6-7개를 찧어서 기름에 개어 탈지면에 얇게 싸서 질구에 넣는다.

사상자, 백반, 석류 뿌리

: 특별한 병이 없이 음부가 가려우면 위 재료를 달여 따뜻할 때에 뒷물을 하면 좋다.

흰접시꽃 뿌리, 봉숭아 뿌리, 빗자루나무 뿌리 : 이 재료를 달여서 1일 3회 마신다.

28) 질 염

마늘 : 마늘 삶은 물로 뒷물을 한다.

29) 부인병

삼백초, 질경이 : 이 재료를 달여서 마신다.

닭(수탉), 옻나무 : 이 재료를 함께 삶아서 먹는다.




태그 :
댓글 : 0
다음 포스트 :: 흡연의 해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