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 친환경 건축물(Green Building)

건축시공기술사 기출해설 | 2015-04-07 오전 9:35:08 | 조회수 : 5532 | 공개

025. 친환경 건축물(Green Building)
 
*시공71회-용어1. Green- Building  
*시공89회2. 친환경 건축물(Green Building)의 정의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회2교시-1.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따른 친환경 건설(green construction)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해설]
1. 그린 빌딩 (Green Building)정의
그린빌딩이란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을 목표로 '에너지부하 저감, 고효율 에너지설비(energy), 자원재활용, 환경공해 저감기술(environment) 등을 적용하여 자연친화적(ecology)으로 설계, 건설하고 유지 관리한 후, 건물의 수명이 끝나 해체될 때까지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된 건축물'을 말한다.
 
 
2. 배경
-에너지와 환경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세계사적으로 하나의 전환점이 된 1992년 6월 리우 환경정상회의 이후 거세게 불고 있는 ESSD(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라는 환경과 개발의 상충이 아닌 공존의 경제개발방식이 중시됨에 따라 등장하게 된 환경친화적 건물 (Environmentally Friendly Building,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uilding, Green Building, Sustainable Building, Ecological Building 등으로 불림)은 그 기술개발과 보급의 중요성이 국내에서도 최근에 크게 증대되고 있다.
-1987년 유엔환경개발위원회(UNCED) 보고서인 'Our Common Future'에서 전술한 'ESSD'를 '미래세대가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고 현재의 필요한 것을 충족시키는 개발방식'으로 정의하였다.
 
3.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

에너지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제까지의 건물에 대한 기본개념인 '인간이 거주하며 모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차원을 넘어, 현세와 후세에 걸친 인류의 생존과 지구환경 문제에 기여하기 위한 건축분야의 대안으로 그린빌딩(Green Building) 이라는 개념이 제안되었다.
 

4. 그린빌딩의 기술 
-그린빌딩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건물의 냉난방, 조명 등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의 사용은 변환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이 동반되므로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줄이는 기술은 그린빌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술요소이며 아울러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한 설비의 효율향상이 필수적이다.
-또한 건물로부터 유발되는 각종 오염원의 발생을 줄이고 발생된 오염원에 대해 주위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환경공해 저감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건물로부터 나오는 폐자원을 재사용하거나 재생이 불가능한 자원의 경우에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처리하는 기술 등이 중요한 기술로 되어 있다.
 

5. 국내동향 

(1)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환경부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그린빌딩 인증제'를 시범적용하고 있다.
 
(2)국내인증제도-친환경건축물의 인증기준
[참조]친환경건축물의 인증기준 개정안 참조 2012.7.1시행
 
6. G-SEED란?
(1)배 경
「녹색건축 인증제」영문 명칭은 녹색건축물 인증제의 영문명칭 미국의 LEED, 영국의 BREEAM 등과 같이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발음할 수 있는 친숙한 이름을 제작하여 해외 홍보에 적극 활용할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2)의 미
정부 시책 방향인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해 녹색건축의 의미를 잘 표현하면서, 쉽게 이해하고 발음할 수 있도록 친숙한 명칭이자 글로벌 시장 속에서 널리 활용하기 위하여 영문으로 브랜드명이 마련 되었다.
2012년 대국민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G-SEED는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의 약자로 ‘에너지 및 환경적 설계를 고려한 녹색건축 인증기준’을 의미한다.
 (3)선정과정
녹색건축 인증제의 인지도 행상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브랜드 강화를 위해 영문 명칭에 대한 대국민 공모를 개최하였고 2012년 11월 응모작을 신청 및 접수르 받았으며, 2012년 12월 전문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녹색건축 인증제」영문 명칭으로 G-SEED가 선정되었다
 
 
 
 
제6조(인증등급) 규칙 제7조제1항에 따라 인증등급은 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일반(그린4등급)으로 하며, 점수표에 따라 분류한다.
 
 

제12조 (친환경건축물 인증의 의무취득) 공공기관에서 건축하는 연면적의 합계가 10,000㎡ 이상인 공공건축물은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에 따른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취득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공공건축물 중 청사는 2등급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 
 
 
[종전의 제11조에서 이동 1999.12.31]
제13조(다른 법령 또는 고시와의 관계)
①「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58조 및 「주택성능등급 인정 및 관리기준」제5조에 따라 주택성능등급 인정을 받고 별표 12에 따른 인증등급별 점수기준의 심사점수를 취득한 경우에는 규칙 제11조에 따른 친환경건축물 예비인증을 받은 것으로 본다. 이 경우 심사점수에 해당하는 등급의 친환경건축물 예비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6. 그린빌딩 기술사례
(1)공조시스템 
 
 
(2)자연채광 및 환기시스템

 
(3)이중외피 및 고효율창호

 
(4)연돌효과 및 이중바닥구조를 이용한 환기

 
===========================================================================================
[출처] 그린 빌딩 (Green Building) (유넵한국위원회) |작성자 29기 인턴 김태현
[출처]  친환경 건축물사례 칼럼
[출처] 친환경건축(Green Building)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2004. 11. 24.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상동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