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4. 도심지 기성콘크리트 말뚝공사(매입말뚝) / SIP공법 / SDA(DRA)공법

건축시공기술사 기출해설 | 2015-04-10 오전 10:08:04 | 조회수 : 22424 | 공개

044. 도심지 기성콘크리트 말뚝공사(매입말뚝) /  SIP공법 / SDA(DRA)공법

*71회-논술9. 도심지 기성콘크리트 말뚝공사의 준비사항과 공법을 기술하시오
*73회3교시-1. SIP(Soil Cement Injected Precast Pile) 공사시 시공순서와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77회2교시-1. SIP(Soil Cement-Injected Precast Pile)파일 공사의 시공순서와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시공83회2교시-6. S.I.P.(Soil Cement Injected Precast Pile) 공법의 특징과 시공상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시공88회1교시-3. DRA(Double Rod Auger) 공법
*100회2교시-2. SIP(Soil Cement Injected Precasted Pile)공법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해설] 
1. 배경
-타입공법은 말뚝을 지반에 직접 타격하는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온 공법이다. 상부 지층에 조밀층 또는 자갈층 등 있어 타입이 곤란하거나, 점토층이 있어 타입시 기존 구조물 및 기항타 말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에는 상부 지층을 선굴착한 후 항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도 타입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근래에 타입말뚝 공법은 항타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등의 공해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매입공법은 타입말뚝시공 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공법으로 여기에는 SIP(soil cement injected precast pile)공법, SAIP 공법, SDA(separated doughnut auger)공법, 중굴공법, 코렉스공법, PRD(percussion rotary drill)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매입말뚝공법은 1994년 건설환경법이 공표되면서 그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항타시 소음, 진동으로 인한 민원 문제가 없는 임해지역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매입말뚝공법이 대부분 이용된다.
-SDA 공법은 현장에서 DRA(dual respective auger)공법으로도 불려진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는 매입공법은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이며
-SAIP공법, 중굴공법, 코렉스공법은 도입 및 개발 초기에 이용되다 적용성의 문제로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매입말뚝공법 중 SIP공법, SDA공법은 주로 PHC말뚝을 이용한 방법에서 많이 쓰이고, PRD공법은 강관말뚝을 이용하는 공법에서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PRD공법은 현장타설말뚝 공법에서 이용되기도 한다.
 
2. 기성콘크리트말뚝공사의 종류
 
  타입공법       직타
     
        선굴착후 직타
     
  매입공법       SIP, SAIP, SDA(DRA)
     
        PRD
     
  현장타설공법     대구경공법     all casing, RCD, earth drill
   
        조합
   
      소구경공법     ACIP, Omega, Fundex
   
        마이크로파일
   
 
3. 기성콘크리트 매입말뚝공법기술
->여기선 도심지 기성콘크리트말뚝이란 제한사항이 있으므로 매입말뚝위주로 설명한다.
 
(1)타입말뚝공법
-타입말뚝공법은 디젤해머, 유압해머, 드롭해머 등으로 기성말뚝을 소정의 깊이까지 타입하는 공법으로 말뚝시공법 중에서 실적이 많고, 시공시에 지지력을 확인할 수 있는 공법이다. 단, 소음,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현장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매입말뚝공법
-현재 국내에서 콘크리트말뚝에 이용되는 매입공법으로는 SIP공법, SAIP공법, SDA공법, 속파기공법 등이 있는데 이중 SIP공법과 SDA공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가. SIP(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 공법
1)정의
-SIP공법은 선굴착 시멘트풀 주입후 최종경타하는 공법으로 불려진다.
 
2)시공순서
-SIP공법의 시공순서는 우선 말뚝직경 보다 100 ㎜ 정도 큰 연속오거로 선굴착하고 오거 중공부를 통하여 시멘트풀을 굴착공 내에 주입(충전)한다. 그리고 오거를 인발한 후 기성말뚝을 삽입하고 드롭해머(또는 유압해머)를 사용하여 최종 경타를 실시한다.
 
[시공Flow]
A. 사용기계 및 기구의 점검을 실시한다. 특히 오거의 치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고 설계심도 부근에는 50cm 마다 mark를 한다. 또한 배합기 및 계량기에 대해서도 배합비, 사용방법 등을 확실하게 파악한다=>
 
B. 말뚝의 시공시점에 설치된 표식과 오거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킨 후 오거가 수직인가를 확인한 다음에 굴진을 시작한다.(그림①)=>
 
C. 굴진용 용액(일반적으로 Soil-cement 1m³당 시멘트 120kg, Bentonite 25kg, 물 450 ℓ로 배합)을 오거선단에서 주입하면서 중간지층을 굴진한다. 지지층을 확인하면 다시 설계심도까지 굴진한다. 이때 설계심도는 적어도 지지층 안에 말뚝직경의 3배 이상 관입되어야 한다. (그림②)=>
 
D. 설계심도까지 도달하면 굴진용 용액을 근고용(根痼用) 용액 (선단부 지층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시멘트:물 = 1:1.2∼1.4 로 하며 시멘트는 400∼800kg 정도로 사용한다.)으로 바꾸어서 수회,수m를 오거로 상하 왕복하면서 교반하여 Cement Paste와 지층이 충분히 교반되도록 한다. (그림③)=>

E. 오거로 충진액(굴진용 용액과 동일)을 주입하면서 인발한다. (그림④)=>

F. 말뚝은 공의 중심과 수직이 되도록 세운 뒤 말뚝자중에 의해 압입한다. 이때 압입길이가 말뚝선단부에서 허용고차(약 2.0∼2.5m)보다 미달되면 말뚝을 인발하여 재 압입 하든지 말뚝을 낙차(0.2 ∼ 0.5m)로 타격하여 허용고차 범위에 seating 되도록 한다. . (그림⑤)=>

G. 항타장비에 의해 말뚝을 경타하여 허용최종고차(약 0.5 ∼ 1.0m)이내까지 타입시킨다. . (그림⑥)
 

 
3) SIP공법적용시 및 시공시 고려사항
-굴착공 내에는 흙․시멘트풀이 슬러리(slurry) 상태로 존재하며 말뚝 삽입 및 최종 경타 후 이 슬러리는 말뚝주변에 흙-시멘트벽을 형성한다.
-일정시간 경과 후 흙-시멘트 층이 양생되면 이 층으로 인하여 주면마찰력을 기대할 수 있다. 과거의 시방에서는 시멘트함량을 굴착부피에 대해 제시하였지만 이는 현장에서 정량화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물시멘트 비(w/c)로 제시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SIP공법에서는 말뚝의 최종 근입깊이가 지지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뚝이 굴착 깊이보다 깊은 곳까지 경타관입 될 경우에는 시멘트풀의 주입은 큰 의미를 갖지 않으므로 평균배합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타 후 말뚝선단부가 선굴착 깊이 보다 깊지 못할 경우에는 지반조건, 말뚝 관입깊이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 함량을 부배합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아직 까지 SIP공법에 대한 국내의 설계기준은 상세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SIP공법의 적용시 시험시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시험시공시에는 최종 굴착깊이, 경타기준, 시멘트풀 배합비, 말뚝의 부력 및 조치 등을 결정한 후 이에 따라 본시공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품질 확인시험을 실시하는 절차가 바람직하다.
 
-굴착깊이는 토질주상도, 오거 장비의 저항치 등을 바탕으로 결정하되 위치별로 시험시공을 통해 결정하고 최종적으로는 경타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경타기준은 시험시공으로부터 정해지며 해당해머에 대한 낙하높이와 이에 대한 타격당관입량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최종 경타시에는 낙하높이와 타격당관입량을 확인해야 한다.
 
-시멘트풀배합비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평균배합비(w/c=0.83~1.0)를 사용하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력 위주로 시공될 필요가 있거나 지하수위에 의해 시멘트풀이 희석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부배합비를 적용한다.
 
-말뚝삽입시 말뚝이 부력을 받는 경우는 경타시 말뚝에 인장응력이 걸리거나 경타후 말뚝이 부상하여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이 의심되는 경우는 말뚝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어 부력을 줄여 경타를 하는 것이 좋다.
 
-SIP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장주변의 환경조건이 최종 경타를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드물게는 경타를 하지 않고 말뚝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선단 근고액을 별도로 주입하는 일본의 다른 공법을 모방하는 것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래 공법의 시방을 제대로 지키거나 확실한 주면마찰력이 기대되는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좋지 않은 결과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해야 한다.
 
-선굴착시 공벽붕괴가 심하게 발생하여 최종 경타를 실시하더라도 소정의 관입깊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SIP공법의 적용은 곤란하며 이러한 경우는 케이싱을 이용한 굴착공법이 적용되는 매입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나. SAIP공법
1)정의
-SAIP공법은 강관 케이싱 굴착공법으로 불려진다.
 
2)고려사항
-매입말뚝의 공법선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벽붕괴이다. 일반적으로 굴착시 공벽이 붕괴되어 SIP공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조건이 많다.
-지반이 공벽붕괴되는 조건에서 시멘트풀 주입으로 소정의 주면마찰력을 기대할 수 있는 충분한 관입깊이가 확보될 경우는 평균적인 시멘트풀배합비(w/c=0.83~1.0)의 주입으로 마찰말뚝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 경우 소요 말뚝 관입깊이는 현장주변의 여건에 따라 최종 경타 또는 별도의 오거에 의한 관입으로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경타 또는 별도 오거에 의한 압입으로도 충분한 주면마찰력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까지 말뚝을 관입시킬 수 없을 때에 이용할 수 있도록 SAIP공법이 고안되었다. <그림 3.2>에는 SAIP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었다.
 
-SAIP공법에서 강관케이싱의 내경은 말뚝직경보다 50㎜정도 크며 강관케이싱의 외벽에는 폭이 50㎜정도인 오거날개를 나선형으로 용접하여 굴착을 용이하게 한다. 강관케이싱의 바닥에는 굴착시 강관케이싱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선단부용 마개를 설치한다.
 
-지지층까지 굴착이 완료되면 케이싱 내부에 시멘트풀을 주입하고 기성말뚝을 삽입한다. 기성말뚝의 삽입은 케이싱 상부로부터 말뚝을 낙하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강관케이싱 하부에 가용접한 선단부용 마개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경우 말뚝의 낙하에너지(말뚝자중×낙하고)의 값이 크게 되어 말뚝재료의 파손이 우려되며 낙하된 말뚝이 선단부에 완전하게 접촉되고 있는지가 의문시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말뚝 삽입방법은 말뚝을 서서히 삽입한 후 선단부용 마개분리와 선단부의 완전한 접촉을 위하여 최종 경타를 실시하는 방안이 좋다.
-선단부용 마개가 강관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내부오거로 말뚝을 누른 상태에서 강관케이싱을 회전 인발한다. 이 과정에서 기 주입된 시멘트풀과 토사와의 교반으로 말뚝 주위에는 흙-시멘트층이 형성된다.
 
-SAIP공법은 적절히 시공될 경우 만족할 만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상의 문제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공 시간이 길고 시공비가 고가인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다. SDA(DRA)공법
1)정의
-SDA(Seperated Doughnut Auger) 공법은 이중오거공법으로 불려지며 현장에서는 DRA(Dual Respective Auger)공법으로도 불려지고 있다. 이 공법은 굴착공벽붕괴에 따른 말뚝지지력의 저감 문제와 선단지지지반 확인이 곤란한 점을 개선한 공법이다.
 
2)특징
-SDA공법은 상호 역회전하는 상부(내부) 오거와 말뚝직경보다 50~100mm 정도 큰 하부(외부)케이싱 스크류에 의한 독립된 이중 굴진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굴진에 따라 서로의 반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굴진된 토사는 오거와 공기로 배출시킴으로서 토사나 암편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각 지층의 확인 및 지지층 결정이 용이하다.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기존매립공법의 지지력 문제점을 보완하고 진동, 소음이 문제가 되는 지역에서 적용성이 매우 큰 공법이고 특히 주변건물과 밀접하여 소음 및 진동으로 민원발생이 예상되는 현장과 지하 터파기 후 장비 진입이 곤란하고 지반여건이 연약하여 파일공사 작업이 불가능한 현장에서는 현 지반에서 공삭공 D.R.A공법을 병행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시항타 시공방법
-시험말뚝은 실제말뚝의 무게와 단면을 가진 본항타용 제품으로 하며 실제 말뚝박기에 적용될 비트(T-4)와 햄머를 사용한다.
-시항타는 당초 설계된 길이 보다 길이가 긴 파일을 사용하고 위치 선정은 지형상이 지층 길이 변화가 예상되는 곳, 이상지층등 필히 확인을 요하는 곳에 선정한다.
-시항타를 할 때 관입량을 검측하고 파일번호를 기재하며 설계심도와 상이한 경우 설계변경요청을 한다.
-지지층이 호박돌, 지장물 철거 잔재매설, 불규칙 토층으로 인하여 도면대로 시공이 어려울 경우 발주처나 감독관에게 보고한다. 
 
4)본항타 시공방법
-천공
ⓐ 천공위치를 확인후 장비를 작업하기에 최적의 위치에 이동 거치한다.
ⓑ 천공위치에 AUGER+T-4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킨후 AUGER+T4가 수직인가를 수준기와 다림추로 확인한 다음에 굴진한다.
ⓒ Air를 T-4햄머 선단부에 주입하면서 굴진한다.
ⓓ 지지층까지 정회전으로 굴진한다.
 
-시멘트 그라우팅
ⓐ 설계심도까지 도달하면 오거를 상하 왕복하면서 교반하여 Cement Paste(일반적으로 물1㎡ 당 시멘트 880kg, 물 730L)와 선단부 부근의 원지반 토사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
ⓑ Cement Paste를 주입하면서 인발하고 파일 삽입시 공벽이 충진되도록 한다.
 
-파일건입
ⓐ 파일을 세울 때 매다는 위치는 파일선단부의 3/10 지점에 와이어 로프를 걸어 세운다.
ⓑ 파일을 끌어올릴 때 이미 시공된 파일에 부딪쳐 충격을 가하거나 Leader에 충돌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파일을 천공홀의 중심과 수직이 되도록 세운뒤 파일 자중에 의해 삽입한다.
 
-최종 안착항타
파일을 해머를 이용 낙착로 타격하여 천공깊이 까지 안착 시킨다.
보강타
ⓐ 설계위치에서 75~100mm 벗어난 경우 중심선 외측으로부터 벗어난 만큼 기초 확대 및 철근 1.5배 보강 배근도록 조정, 확인한다.
ⓑ 설계위치에서 150mm 초과하여 벗어난 경우 설계위치에 인접하여 추가항타하고 파일 중심선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폭 확대하고 철근 1.5배 배근
ⓒ 수직 시공이 되지 않을 경우 (기울기L/50이상) 보강파일 시공
ⓓ 중파된 경우 설계위치에 인접하여 추가항타하고 파일 중심선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폭 확대하고 철근 1.5배 배근
 
 
5)시공Flow                                                                                                                  
-SDA공법의 시공순서는 우선 이중오거를 서로 역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굴착을 한다.
-굴착이 끝난 후 내부 오거를 인발하면서 외부 케이싱 내에 시멘트풀을 주입(충전)하고 오거를 완전히 뺀다.  
-내부 오거를 뺀 후 말뚝을 삽입하고 오거로 말뚝을 누른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을 인발한다. 외부케이싱을 인발한 후 경타를 실시한다.
 -지반에 조밀한 중간층 또는 전석층 등이 존재하거나 단단한 선단지반을 굴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오거로 지반을 굴착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천공기(T4)를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시멘트 풀은 내부 오거를 통해 주입할 수가 없으므로 별도의 튜브를 이용해야 한다.
 
 
4)고려사항
-T4를 이용한 굴착은 지지층의 확인에 보다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SDA공법은 원래 최종 경타 방법이 아닌 압입방법으로 말뚝을 시공하여 건설공해로 인한 민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고안되었지만, 현장 시공시에는 굴착 선단하부가 교란 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경타를 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품질관리수단이 없어 최종 경타로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직 SDA공법에 대한 상세한 설계내용은 설계기준 및 시방에 반영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SDA공법을 적절히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험시공의 역할이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하다. 시험시공시에는 최종 굴착깊이, 경타기준, 시멘트풀 배합비, 말뚝의 부력여부 등을 정한 후 이에 따라 본시공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품질 확인시험을 통해 시공을 마무리 하는 절차가 바람직하다.
 
-굴착깊이는 토질주상도, 오거(또는 T4) 장비의 저항치, 배토된 흙 등을 바탕으로 결정하되 위치별로 시험시공을 통해 결정하고 최종적으로는 경타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경타기준은 시험시공으로부터 정해지며 해당해머에 대한 낙하높이와 이에 따른 타격당관입량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최종 경타시에는 낙하높이와 타격당관입량을 확인해야 한다.
 
-시멘트풀 배합비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평균배합비(w/c=0.83~1.0)를 사용하되, 마찰력 위주로 시공될 필요가 있거나 지하수위에 의해 시멘트풀이 희석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부배합비를 적용한다.
말뚝삽입시 말뚝이 부력을 받는 경우는 경타시 말뚝에 인장응력이 걸리거나 경타후 말뚝이 인상하여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이 의심되는 경우는 말뚝의 하단부에 구멍을 뚫어 부력을 줄인 후 경타를 하는 것이 좋다.
 

4. 매입말뚝 시공준비 
 
가. 준비
(1) 말뚝의 시공에 앞서 지하매설물 및 지상의 장애물에 대한 상황을 조사하여 말뚝시공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2) 지면은 평탄하게 다지고 배수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필요시 폭 50㎝, 깊이 50㎝의 배수로를 만든다.
(3) 연약한 층이 깊게 분포된 지반으로 항타장비 진입이 어려운 경우는 두께 60㎝의 혼합골재나 80㎝의 사질양질토로 치환하여 다지고 항타기 깔판용 강판을 준비한다.
(4) 말뚝 위치는 헝겊과 못 등으로 정확하게 표시하고 건물 또는 구조물의 배치상태와 말뚝위치, 바닥레벨을 점검한다.
(5) 천공장비는 50㎝마다 눈금을 표시하고 매 100㎝마다 숫자를 표시하여 천공깊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6) 말뚝은 수평선으로 50㎝마다 눈금을 표시하고 숫자를 말뚝선단에서부터 100㎝마다 기입하여 말뚝길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7) 경타용 드롭해머의 낙하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리더하부에 50cm 간격으로 마킹을 한다.
 
나. 시험시공
(1) 본항타 착수 전에 지반조사보고서와 기초 설계자료를 토대로 설계하중의 적정성 및 지반조건의 확인, 본항타 용 말뚝길이 및 시공관리기준의 확정을 위하여 시항타를 실시한다.
(2) 본 공사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시공을 한다.
(3) 시험시공 초기 또는 지지층변화가 예상되는 지반조건에서는 기존의 지반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시험천공을 실시하여 시공할 말뚝의 길이를 예측한 후 시험시공을 실시한다. 시험천공한 구멍은 되메움한다.
(4) 지하수위가 높거나 흐르는 경우 시멘트풀의 배합비를 표준배합(83%)보다 부배합으로 한다.
(5) 지하수위가 높을 경우 말뚝설치 직 후 말뚝에 대한 수준측량 등으로 부력여부를 관찰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한다. 필요할 경우 말뚝 선단부에 구멍을 뚫어 부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멍크기는 직경의 1/6미만으로 한다.
(6) 시항타에서는 동재하시험 등을 실시하여 지지력 및 말뚝의 관입성을 확인하여 경타관리 기준을 정한다. 항타시 동재하시험(EOID)에서 지지력이 만족되었을 경우라도 시멘트 풀이 양생된 후 재항타시험(Restrike)을 통해 지지력의 변화를 반드시 확인한다.
(7) 시공관리항목(굴착깊이 및 말뚝관입깊이, 시멘트풀 배합비, 경타기준, 지지력, 부력발생여부 등)을 모두 기록하고 평가한 후 시공관리기준을 작성하여 본항타의 기준자료로 삼는다.
(8) 시항타를 실시한 이후 그 결과에 따라 설계 및 시방을 변경할 수 있다. 시험시공 결과 말뚝의 길이, 직경, 시공방법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질조사결과, 지반 조건 등의 제반사항을 충분히 검토한 후 결정한다.
 
[출처]PHC 말뚝의 설계 및 시공지침서 연구보고서 2006. 3 사단법인 한국지반공학회 보고서에서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