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8. 실링(Sealing) 공사에 있어서 실란트(Sealant)의 요구성능과 부정형 실링재

건축시공기술사 기출해설 | 2015-04-06 오전 8:52:27 | 조회수 : 10316 | 공개

018. 실링(Sealing) 공사에 있어서 실란트(Sealant)의 요구성능과 부정형 실링재

*70회-논술11. Sealing 공사에 있어서 부정형 실링재의 요구성능과 시공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81회4교시-5. Sealing 공사의 Sealant 요구성능 및 선정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시오. 

*95회3교시-4. 건축물의 실링공사에서 실링의 파괴형태별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0회3교시-1. 건축물 sealing 재 시공 시 주의사항 및 설계검토 항목을 설명하시오. 
 
[요약]
1. 실란트...접합부나 틈의 수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충진되는 물질, 이중 탄성실링재를 실란트라 함.
2. 실란트의 필요요건...작업성, 경화성, 부착성, 내 Movement성, 내구성능(내후, 내한, 열,내수,내약품성)
 
[해설]
1. 실란트란
-각종 접합부(Joint)나 갈라진 틈(Seam)에 대한 수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실링재라 말하며, 이는 어느 정도 강도 및 탄성을 가지고 부재를 고정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이중 특히 탄성실링재를 실란트(Sealant)라고 한다.
-충진할 때의 형태에 따라 부정형재료와 가스켓과 같은 정형재료로 나누어지는데 좁은 뜻의 실링재는 부정형재료를 말하며 부정형재료는 실란트와 코킹재로 구분된다.
 
(1) 실란트(Sealant) : 신축허용율 ±0% 이상 조인트에 사용되어지는 제품
--> Silicone, 변성 Silicone, Polysulfide, Polyurethane
(2) 코킹재(Caulking) : 신축허용율 ±0% 이하 조인트에 사용되어지는 제품
--> Oil, Butyl, Acryl
  
2. 실란트의 필요 요건
각종 접합부의 수밀,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란트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 부재와 부재를 방수적으로 연속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능
가) 작업성 (Extrudability, Non-Sagging or Self-Levelling)
나) 경화성 (Tack Free Time, Curing Rate, Hardness)
다) 부착성 (Cohesion Failure : Good Adhesion), (Adhesion Failure : Bad Adhesion)
 
(2) 완전경화된 도막이 접합부의 움직임에도 파열, 박리되지 않는 내 Movement 성능
가) 탄성 (내 Movement성)
 
(3) 옥외의 자연 조건하에서 내 Movement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 성능
가) 내후성
나) 내한, 내열성
다) 내수성
라) 내약품성
 
 
3. 실란트에 요구되는 성능
(1) 내수성이 우수할 것
(2) 부재(피착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할 것
(3) 계절에 관계없이 양호한 접착성과 가사시간(작업가능시간)이 적당하며 확실하게 경화할 것
(4) 줄눈에 발생하는 움직임에 잘 대응하고 과도한 응력 발생으로 인한 이상 변형이 없을 것
(5) 장기간에 걸쳐서 강인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실링재 자체가 약화되지 않을 것
 
 
4. 실란트 표준 시공방법 및 절차
(1) 기존 실링재의 제거(보수코킹 작업시 필요)
가) 기존에 시공된 실링재를 전동 카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나) 기존 실링재를 제거한 후 피착면에 오염된 오염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핸드 그라인드를 사용하여 피착면(소재)를 그라인딩한다.
 
(2) 시공부위의 청소
가) 시공부위의 먼지, 기름, 수분, 연마 잔여물 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나) 오염된 부분은 크리너(톨루엔, 노말 핵산, 알코올 등)을 사용하여 닦아 준다.
 
(3) 백-업(Back-up)재의 삽입
가) 백-업재는 실제 조인트 규격보다 3-4 mm 정도 큰 것을 사용한다.
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원형의 백-업재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백-업재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Bond Breaker Tape를 사용한다.
다) 백-업재는 당일 시공 부위만 시공한다.
 
(4) 마스킹 테이프 작업
가) 시공부위 주위에 오염 또는 훼손을 방지키 위하여 조인트 양측에 Taping 작업을 실시하며 마스킹테이프 제거시 점착액이 남지 않는 우수한 제품을 사용한다.
나) 마스킹 테이프는 당일 작업 부분에 한하여 붙여준다.
 
(5) 프라이머 처리
가) 작업부위에 맞는 선정된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나) 다공성으로 흡수성이 강한 소지나 부착 불량인 소지에는 선행 도포하여 소지와의 부착력을 높여야 한다.
 
(6) 코킹 건(Caulking-Gun) 준비
가) 카트리지 제품은 조인트 폭에 적합한 치수로 노즐을 45℃ 각도로 절단한다.
나) Pail Can 제품은 Gun에 충진시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다) 2액형 제품은 규정된 혼합비에 따라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고루고루 충분히 교반하며 혼합시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교반시간은 15분 정도)
 
(7) 코킹 작업
가) 프라이머가 완전히 경화된(약 30분) 후 Caulking 작업에 들어간다.
나) 조인트 바닥 부분에 깊숙히 노즐을 삽입한 후 충분히 실란트를 짜아 넣으면서 균일하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여 시공토록 한다.
다) 항시 기포가 조인트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한다.
라) 불균형한 시공부위는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수정 보완도록 한다.
마) 교차 부분은 중앙에 삽입한 후 충분한 양의 실란트를 짜아 넣으며 실란트가 교차점을 중심으로 충분히 4방향으로 밀려 흘러 들어간 후 다시 연속해서 실링작업을하고 교차부분에는 이동부분을 만들지 않는다.
바) 코너부분도 교차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한다.
사) 연결부분은 반드시 교차부분이나 코너부분을 피해서 직선 조인트부분에 만든다.
아) 연결부분이 아직 경화되지 않았을 시는 노즐을 실란트 안으로 찔러 넣고 다시 작업을 시작한다.
자) 연결부분이 경화되었을 시는 새로운 실란트와 접착면적을 넓혀주기 위하여 칼로 비스듬히 각도(45도)를 내며,청소 후 시공한다.
 
(8) Tooling 작업
가) 코킹작업이 끝나면 즉시 경화되기 전에 작업한다.
나) 각 조인트 폭에 알맞은 주걱을 준비하여 실란트의 표면을 일정한 각도로 깨끗이 밀어준다.
다) 교차부분이나 코너부분에서는 여러 차례 주걱으로 밀어준다.
 
(9) 마스킹 테이프의 제거
마스킹 테이프는 Tooling이 끝난 후 즉시 제거하며, 제거 주위가 깨끗하고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10) 양생
Caulking된 작업 부위는 경화되기 전까지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24~72 시간이 경과 되어야 한다) 접촉하지 않도록 통제하며, 시공이 완료된 부위는 Vinyl Sheet로 덮어 보양 보호토록 하여 충분한 경화시간을 갖도록 한다.
 
5. 시공시 주의사항
(1) 강우, 강설시 피착면이 젖어 있을 때에는 시공을 피한다.
(2) 프라이머의 도포는 피착면 이외에는 도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백-업재 삽입시 흠집이나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4) 오일, 부틸계 코킹을 사용한 조인트를 보수할 때는 시공되어 있는 구 코킹재를 완전히 제거해 주어야 한다.
(5) 시공온도는 가능한한 5℃ - 35℃ 이내에서 작업한다.
반응경화형 2액형 실란트(폴리설파이드, 폴리우레탄, 변성실리콘)는 가사시간, 경화시간, 점도가 온도에 매우 민감함으로 적정 온도에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2액형일 경우 주제, 경화제는 공히 개봉 후에는 가능한 한 전량 사용하도록 한다.
(7) 혼합시 종전 사용잔량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며, 규정된 혼합비에 따라 균일한 혼합이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며, 혼합시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8) 실란트의 유효기간(각 실란트 자료에 표시)이 경과한 것은 사용할 수 없다.
(9) 피부에 묻거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시공상의 하자원인 및 대책
(1) 하자 유형별 종류 및 원인
가) 접착 불량
1) 프라이머 미도포 혹은 도포 방법 실수
2) 부적당한 프라이머 사용
3) 소지와의 상용성 검토가 안된 경우
4) 알카리 소지 전처리 실수
5) 소지면이 젖은 경우의 실링
6) 유분, 타르, 역청질 등에 의한 소지 오염
7) 오일 혹은 왁스 성분의 백업재 사용
 
나) CRACK 발생
1) 너무 좁은 조인트
2) 부적당한 조인트 설계 (형상계수 등)
3) 실란트 자체의 내구성 부족
4) 실란트 완전 경화 전에 소재의 심한 움직임 발생
 
다) 소재의 오염
1) 석재 등 다공성 소지의 오염 발생
2) 실란트 자체의 변색
 
라) 기타
1) 배부름 현상 : 백업재의 올바른 사용이 요구되며 동절기 밤낮의 일교차가 심할 경우는 햇볕이 많이 쪼이는 면의 작업은 피하는 것이 좋다.
2) 건축 자재의 쪼개짐 : MODULUS 가 낮은 실란트 선택이 요구됨.
 
(2) 하자 예방 대책
가) 접착 불량
1) 실란트, 소지의 종류에 적합한 프라이머를 선정 정확히 도포한다.
2) 실란트와 소지와의 상용성을 사전에 검토 후 적용한다.
3) 소지면의 오염(먼지,수분,유분,기타화합물 등)을 철저히 청소한다.
4) 오일 또는 왁스성분이 있는 백-업재는 사용을 금한다.
 
나) CRACK 발생
1) 조인트의 폭을 소지의 종류에 맞게 적당하게 한다.
2) 형상계수를 소지 종류에 맞게 조인트를 설계한다.
3) 용도에 맞는 실란트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4) 실링 후 완전 경화될 때까지 심한 움직임을 피한다.
 
다) 소재의 오염
1) 석재 등 다공성 소지는 프라이머 도포를 정확하게 한다.
2) 적합한 실란트를 선정 사용한다.
 
[참조 : 코레실종합상사
www.koreseal.co.kr] 코레실상사의 홈페이지에서 발췌정리하였습니다.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