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5. 거푸집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대책 및 거푸집의 가공, 제작, 조립, 설치상태점검

건축시공기술사 기출해설 | 2015-04-06 오전 8:48:31 | 조회수 : 5433 | 공개

015. 거푸집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대책 및 거푸집의 가공, 제작, 조립, 설치상태점검
 
*70회-논술8. 현장에서 거푸집의 가공,제작과 조립, 설치상태를 점검하려고 한다. 이때 유의해야 할 사항을 기술하시오.  
*시공85회3교시-1. 거푸집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4회4교시-6. 철근콘크리트공사 중 거푸집 시공계획 및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요약]
1. 개요...거푸집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전용 및 시공성고려
2. 변형기준...A급(노출면 3mm), B급(마감 6mm), C급(미관상 중요치 않는 노출 13mm)으로 구분

[해설]
1. 개요
거푸집은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전용할수 있도록 계획한다.
건축물의 형상, 크기, 공구 나누기에 따라 전용패턴을 결정
 
2. 시공계획(전용계획부분)
-거푸집 공법의 결정
-최대 전용 가능한 횟수 결정
-소모 재료의 비율 가정
-거푸집 재료의 존치기간 결정
-전용 예정표 작성
->운반 효율 감안 : 수평이동 적게, 수직이동 위주
->동일 재료를 동일 부재로 전용
->가장 단순하고 쉬운 방식으로 전용
->공정이 지연된 경우를 감안하여 다소의 여유확보
-소요량 확정 및 발주 ->실무책임자와 반드시 협의
 
3. 거푸집변형기준
-거푸집널의 변형기준은 표면의 평탄하기 등급에 따라 순간격 Ln내의 변형

표면등급 상대변형 절대변형
A급 Ln/360 3mm
B급 Ln/270 6mm
C급 Ln/180 13mm
 
①A급 : 미관상 중요한 노출콘크리트면
②B급 : 마감이 있는 콘크리트면
③C급 : 미관상 중요하지 않는 노출 콘크리트면
 
4. 거푸집공사의 품질관리 및 검사
[참조 : 거푸집공사의 품질관리 및 검사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항목 시험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거푸집널, 동바리, 긴결철물 육안검사, 치수측정, 품질표시의 확인 현장반입시, 조립중 수시 KS기준
동바리의 배치 육안검사 및 자에 따른 측정 조립 중 수시 및 조립 후 거푸집 시공도에 일치
긴결철물의 위치, 수량 육안검사 및 자에 따른 측정 조립 중 수시 및 조립 후 거푸집 시공도에 일치
세우는 위치, 정밀도 자, 트랜싯 및 레벨 등에 따른 측정 조립 중 수시 및 조립 후 거푸집 시공도에 일치
거푸집널과 최외측 철근과의 간격 자에 따른 측정 조립 중 수시 및 조립 후 소정의 피복두께가 확보되어 있는 것
거푸집널
및 동바리 해체를 위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KASS 5T-602 거푸집널, 동바리 해체전, 필요에 따라 압축강도 시험의 결과가 소정의 값을 만족하는 것
 
 
5. 거푸집 및 동바리의 시공 허용오차  (1)수직오차
-높이가 30m 이하인 경우 : 노출된 기둥의 모서리, 조절줄눈의 홈 : 13mm 이하
-높이가 30m 초과인 경우 : 노출된 기둥의 모서리, 조절줄눈의 홈 : 높이의 1/2000 이하, 다만, 최대 75mm 이하 
(2)수평오차
-부재(슬래브, 보, 모서리) : 25mm 이하
-슬래브에 300mm 이하인 개구부의 중심선 또는 300mm 이상인 개구부의 외곽선 : 13mm 이하
-슬래브에서 쇠톱자름(sawcuts)이나 줄눈, 그리고 매설물로 인해 약화된 면 : 19mm 이하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