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4. 미장공사에서의 보양, 바탕처리, 한냉기, 서중기 시공에 대한 유의사항
건축시공기술사 기출해설
| 2015-04-06 오전 8:47:35
| 조회수 : 4226
| 공개
014. 미장공사에서의 보양, 바탕처리, 한냉기, 서중기 시공에 대한 유의사항
*70회-논술5. Mortar바르기 미장공사에서의 보양, 바탕처리, 한냉기, 서중기 시공에 대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79회2교시-4. 미장공사의 하자유형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요약]
1. 개요...접착력, 바탕, 보양, 재료수축, 온도관리 미흡으로 미장공사의 하자발생
2. 하자...들뜸탈락, 균열처짐, 요철, 백화로 구분
[해설]
1. 개요
미장공사 시공상의 균열방지대책-균열발생원인
접착력, 바탕, 배합, 보양, 재료수축 등으로 균열발생
2. 보양
-작업시간 내 최종바름이 완료될수 있는 양을 비빔하도록 통제 조치
-물축임(물축임후 1일 건조양생)
-바름 후 직사광선을 피하고 양생 중 비를 맞지 않도록 비닐로 덮어 보양
3. 바탕처리
-바탕 표면의 취약부를 깎아내고 너무 평활한 부분은 빗살 흙손등으로 얇은 접착 모르타르를 훑어 접착 면적을 증대
-바탕이 방수일 경우는 접착에 대한 조치(라스설치)를 취하고 방수층훼손에 주의
-침투성 방수면 바탕위 모르타르 바름은 불가
-바탕이 오염되었을 경우 중성세제로 씻어 제거
-백화현상이나 레이턴스, 박리재, 경화불량 등 강도가 약한 부분은 기계적으로 제거
4. 미장공사의 하자
4.1 들뜸, 탈락
(1)원인 : 저온기 시공으로 인한 모르터 양생불량으로 접착력 부족
(2)대책 :
-전 가열 및 보온을 시행하여 모체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치
-흙손 문지름 횟수를 최소화하여 모르터 내 시멘트페이스트 표면부상을 억제함으로써 모르터 부착력 저하 방지
-시공부위별 시공 전, 후 온도 및 보양관리
4.2균열, 처짐
(1)원인 : 모체온도저하, 직접가열 또는 바름두께 과다
(2)대책 :
-모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1회 바름두께가 과다하지 않게 조치
-초벌 긁어주기는 가늘고 정교하게 시공
-양생 시 난방열이 미장면에 직접 가열되어 급격한 초기양생이 되지 않도록 관리
4.3 요철
(1)원인 : 눌러주기 부족으로 에어포켓
(2)대책 : 모르터를 바르고 1차 면잡기 후 발생한 에어포켓을 철저히 눌러주어 미장면 내에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와 수분이 불풀어 발생하는 요철방지
4.4 백화
(1)원인 : 배합수, 혼화재 과다사용과 온도관리 미흡
(2)대책 :
-모르터 배합 시 물의 양과 접착제의 사용량 최소화
-시공 중 모체의 온도를 적정 유지하며 양생보온 관리철저
5 시공시유의사항
-바름두께는 얇게 잘 건조시킨 뒤 겹바르기->수축에 의한 모르타르바름층의 응력을 작게 조치
-바탕면의 면적이 큰 경우 적당한 크기의 줄눈 설치
-흡수조정Sealer
-접착제(접착증가)
-모래는 시공성이 허용하는 한 거친 입자사용
-보수제, 합성수지 에멀션 등을 혼입하여 흙손질
-익일 작업 시작 전 전일 시공품질의 검사실시
-감소제나 수용성수지 등의 화학제, 시멘트폴리머, 라텍스 등을 혼입하면 모르타르의 인장강도 개량, 탄성부여에도 효과가 있어 균열을 방지할수 있다.
-모르타르바름은 1회 바름두께 얇게 (6mm이내)바르고 가능한 2주일 이상 충분한 방치시간을 두고(건조균열을 내게 하고)겹바른다.
-너무 두껍게 바르거나 급속시공하면 균열발생이 많아진다.
-1회 비빔량은 2시간 이내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한다.
-라스보강과 신축줄눈을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