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의 제주시 산지항 1890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시 산지항의 풍경 물질 끝내고 나오는 해녀 해녀들이 물질
작업을 모두 마치고 각자가
채취한 해산물을 뭍으로 끌어올려 져 나르고 있다.
물질 나가는 수백명의 해녀들
‘소중의’를 입은 수백여명의 해녀들이 태왁을 껴안고 짙푸른
바다로 물질을 나가고 있다.
1930년대 제주 해녀
1930년대 해녀들이 물질을 하기 위해 바다에 들어가고 있다.
일제 강점기 서귀포항과 한라산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귀포항과 한라산
마소 돌보는 제주 소녀
1920년-1930년대 사진으로 추정되는 마소를 돌보는 제주 소녀
제주의 돛단배 1970년대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포구 앞의 돛단배
제주의 포구 축조 공사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에서 포구를 축조하는 공사가 한창이다
여자들도 등어리에 돌을 지고 나르고 있다.
1960년대 제주의 어선 진수식 1968년 4월경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포항에서
‘청구권 자금에 의한 어선 건조 진수식’이 열렸다.
방목장에서 집으로 가는 조랑말 1969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서 한 주민이
방목자에 풀어 놓았던 조랑말을 몰고 집으로 가고 있다.
오줌허벅 진 아낙네 970년대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서 오줌허벅을
진 아낙네들이 수백년 된 팽나무 아래로 난 길을 걸어가고 있다 오줌은
밭에 거름 대용으로 뿌렸다.
폭우로 무너진 제주의 돌다리 1927년 초 폭우로 무너져 내린
홍예교 홍예교는 암무지개와 수무지개를 뜻하는 말로 이 사진은 일본인
쓰루가와 씨가 촬영한 것이다.
천지연에 서식하는 무태장어 1960년대 초 천지연에
서식하는 무태장어를 잡은 모습
제주의 옛 오일장 1967년 7월 제주시 서문시장 남쪽에
위치했던 오일장의 모습
제주의 마을길 넓히는 새마을운동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옛 남제주군
지역에서 주민들이 마을안길을 정비하고 있다.
도로 확장으로 헐리는 초가 제주시 관덕정과 서문로터리를 잇는 서문로 확장 공사를
위해 도로변에 있던 초가들이 헐리고 있다.
도로포장과 전화사업 준공식 1975년 1월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와 성읍리를 잇는 도로포장과 전화사업 준공식을 갖는 모습
제주 추자교 준공 1972년 11월 상추자와 하추자들 잇는 추자교가 준공됐다
이전에는 배를 이용해 상 하추자도로 이동해야만 했다.
정방폭포와 서귀포 시가지 제주 관광엽서를 만들기 위해 서울에서
온 사진작가가 촬용한 정방폭포와 서귀포 시가지.
제주 외화벌이 꿩 사냥 1960년대 제주에서 열린 국제수렵대회에 참가한
일본 관광객들이 총을 들고 제주의 산간지역으로 향하고 있다 수렵대회는
한때 외화벌이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연자방아 돌리는 아버지와 아들 제주에서 말을 이용해 아버지와
아들이 연자방아를 돌리고 있는 모습
1950년대 제주시 산지천 빨래 풍경 1950년대 제주시 산지천에서 빨래하는 광경
과거 산지천은 제주시민의 젖줄이자 빨래터 목욕탕이었다.
1920년대 초 제주시 산지천 하류 1920년대 초 제주시 산지천 하류의 풍경
사진에 보이는 둥그런 무지개 다리(홍문)는 조선 선조 32년(1599년) 건립된 뒤 폭우
등으로 몇차례 무너져 순조 31년(1831년)에 마지막으로 중수됐으나
1927년 8월의 태풍으로 붕괴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망건 겯는 제주 소녀들 가르마를 반듯하게 탄 제주 소녀들이
담벼락 앞 멍석에 앉아 망건은 겯고 있다.
제주 서귀포 고래공장 풍경 1920-1930년대 제주 서귀포 앞바다의 풍경
1950년대까지 있었던 고래가공공장이 보인다.
우도의 넓미역 말리기 섬 속의
섬 우도의 잔디밭에서 넓미역을 말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