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log.auric.or.kr/home/kdyacht.aspx
AURIC
|
LOGIN
홈
|
포스트
|
태그
[
총적립P :
342,780 P
]
doctor
Try to make your dreams come true on my website as follows http://cafe.daum.net/koreawebcast
and call me up at 82 10 8534 8284 ( https:facebook.com/koreawebcast )
대한인터넷방송협회장 남 상학
친구신청
4 명
포스트 카테고리
선학무역
(27)
대한인터넷방송
(224)
기본카테고리
(224)
AURIC 등록자료
My 저서
(0)
사진·답사
(11)
최근 댓글
말이란 나 자신에게도 ...
doctor
말이란 나 자신에게도 ...
doctor
말이란 나 자신에게도 ...
doctor
불행의 책임을 남에게 ...
doctor
불행의 책임을 남에게 ...
doctor
RSS
총 방문:
725009
명
(오늘:
46
명, 어제:
157
명)
자녀 직업 세습
기본카테고리
|
2013-02-02 오전 8:59:25
| 조회수 :
2049
|
공개
'엘리트·부자 부모의 자녀가 좋은 일자리를 얻을 것'이라는 세간의 추측이 최근 연구 결과로 입증됐다. '이구백'(20대의 90%가 백수), '청백전'(청년백수 전성시대) 등으로 표현되는 극심한
청년실업
이 계속되면서 구직 시장에서 부모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헬리콥터 부모
(헬리콥터처럼 자녀 주변을 맴돌며 사사건건 개입하는 부모)들은 자녀를 원하는 직장에 입사시키려고 사교육으로 학벌·영어성적 등 '스펙'을 만들어주는 것은 물론 급할 때는 인맥까지 총동원해 좋은 직장에 취업시켜 준다. 계층별 부모들이 자녀의 취업을 돕기 위해 활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살펴봤다.
한국고용정보원
의 김종성 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의 계층화에 관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조사 10년치(1999~2009년)를 분석해보니 부모의 직업지위가 20~30대 자녀에게 대물림되고 있었다. 노동패널은 국내 가구를 대표하는 표본 구성원(5000 가구에 거주하는 가구원)을 대상으로 해마다 실시하는 조사로 계층별 가정의 소득과 소비, 교육, 직업 등을 추적할 수 있는 기초자료다.
분석 결과 전문 관리직·고용주(CEO) 자녀의 직업지위 점수 평균이 48.60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무직노동자 48.09점, 자영업자 45.19점, 숙련 노동자 44.15점 등의 순이었다. '
화이트칼라
' 계층 자녀의 직업지위 점수가 다른 계층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직업지위 점수는 사회·경제적으로 해당 직업이 얼마나 인정받는지 수치화한 것으로 직업의 사회적 위신, 고용 상태 등을 토대로 매긴다. 예컨대 법조인이나 의사, 교수 등은 점수가 높고 일용직 노동자 등은 점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하는 식이다. 특히 직업지위가 높은 부모를 둔 자녀일수록 취업 뒤 자기계발을 통해 스스로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다. '개인발전 가능성'을 지표로 나타내 보니 전문관리직·고용주 자녀는 3.26점(5점 만점)이었고 사무직 노동자 3.21점, 자영업자 3.10점, 숙련 노동자 3.09점, 비숙련 노동자 3.05점, 농업 노동자 3.01점 순이었다. 분석 대상인 20~30대 직장인들이 중·장년이 됐을 때는 어떤 부모를 뒀느냐에 따라 직업지위가 더욱 벌어질 수 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부자·엘리트 부모에게는 다른 계층의 부모와 달리 직업 지위 세습을 위한 뭔가 특별한 전략이 있다는 얘기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계층을 대표하는 20~30대 청년 취업자 33명을 심층 면담해 부모의 전략에 대해 물었다.
'
꿈의 직장
'으로 불리는
공공기관
직원 정모(27·여)씨는 어린 시절 부모가 했던 말이 지금껏 귓가에 맴돈다. 판사 아버지와 의사 어머니는 TV에 여의사, 여성 변호사 등이 나올 때마다 딸을 불러 "봐봐, 너도 저런 직업을 가졌으면 좋겠다. 여자도 좋은 직업 가져야 대접받는 세상이야"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다. 정씨의 어머니는 딸의 진로계획서 희망직업란에 직접 '변호사'라고 써서 제출하기도 했다.
변리사
인 이모(32)씨도 비슷한 기억이 있다. 부모는 어린 이씨에게 "직업에도 다 귀천이 있는 거야"라고 말하고 또 말했다. 또 딸과 병원에 갈 때마다 "의사 선생님 참 멋있지? 가운도 좋고. 너도 나중에 꼭 의사돼야 해"라고 강조했다. 이씨는 "소득이 높은 변리사를 직업으로 택한 건 부모님의 영향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문직
·CEO 등 부자·엘리트 부모의 자녀들은 면접에서 "성장기에 부모님이 늘 좋은 직업과 나쁜 직업을 구분해 질 좋은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일상적으로 강조했다"고 답했다. 아이가 지위가 높은 직업을 가질 수 있게 고급 사교육과 정보, 인맥을 동원한 구직 지원 등 알려진 방식 외에 '의식화 전략'도 구사한다는 것이다. 위신이 높은 직업을 가지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설명해 환상을 자극하고 반대로 낮은 지위의 직업을 가질 때 불편한 점을 설명해 자녀의 목표의식을 자극하는 식이다.
김모(32·출판사 직원)씨 역시 직업에 귀천이 있다는 사고를 주입받았다. 출판사 대표인 부친은 어린 아들과 아침 밥상에 마주 앉아 '왜 좋은 직업을 가져야 하는가'를 주제로 일장 연설을 곧잘 했다. "사회에서 대접받으려면 사(士)자 들어가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김씨는 "그 효과 때문인지 형과 누나는 사자 들어가는 직업을 가졌다"고 전했다.
김모(29·회사원)씨는 특정 직업을 경계하는 부모의 말을 들으며 자랐다. 교장 선생님이었던 아버지는 "쓰레기 치우는 사람, 똥 푸는 사람이 하고 싶어서 그 일을 하겠니. 그러니까 열심히 공부하라"고 자주 강조했다.
일용직 근로자 등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직업을 가진 부모도 자녀에 "질 좋은 직업과 안 좋은 직업이 있으며 직위가 낮은 직업을 갖지 말라"고 조언하기도 한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부모가 술을 마시고 들어와 '아버지처럼 살기 싫으면 공부하라'고 말하는 등 체계적으로 의식화하지 않고 순간순간 언급하는 정도여서 목표의식을 갖게 하는 데 큰 효과가 없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부모들이 귀천 의식을 주입해 동기부여를 하는 것은 국내 사회구조가 반영된 결과라고 풀이했다. 김안나
이화여대
교수(교육학)는 "잘 정비된 복지제도 덕에 직업 간 위신의 차이가 적은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직업별로 삶의 질 차이가 크다"면서 "자녀에게 좋은 직업에 대한 선망을 자극할 수 있는 건 이런 사회 구조 때문"이라고 말했다.
능력 있는 부모들이 직업지위의 대물림을 위해 전통적으로 활용하는 도구는 교육이다. 어머니는 탄탄한 재력과 정보력을 바탕으로 사교육을 진두지휘한다. 학부모 모임은 사교육 정보의 장이기 때문에 절대 빠지지 않는다. 대형 학원이 부족한 지방에서는 서울의 스타 강사를 고액에 데려와 그룹과외를 하기도 한다. 영어 교육을 위해 엄마·아빠를 따라 외국에 3~4년 머물다 들어오는 일도 흔해졌다.
전문 관리직 부모들은 자녀의 공부습관이나 부족한 과목 등을 면밀히 분석해 맞춤형 사교육을 시킨다. 이 점에서 '강남 엄마 따라하기'로 일관하는 숙련노동자, 사무직 노동자와 전략상 차이가 난다. 수입이 괜찮은 숙련노동자 부모는 돈과 사교육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은 있지만 전략이 부족해 TV광고에 나오는 대형학원에 아이를 보내는 식으로 모방하는 전략을 편다. 다니는 학원 수는 많지만 효과는 전문관리직 부모의 자녀만큼 크지 않다.
자녀의 학업 성적이 부모의 기대만큼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취업에 직접 개입하기도 한다. 공공기관에 다니는 신모(28·여)씨의 사례가 그렇다. 고위공무원인 아버지는 신씨에 공부를 강요했지만 딸이 받아들이지 못하자 이후 전략을 바꿨다. 2년제 대학을 졸업한 신씨는 아버지 지인의 도움으로 공공기관에 입사했다. 아버지가 자기 회사로 자녀를 취직시키는 경우도 있다. 김모(32)씨는 회계사와 세무사 시험에 계속 떨어지자 아버지 회사에 입사해 영업사원으로 일하고 있다.
면접 결과, 부모의 지원이 든든한 자녀는 취업 뒤에도 경력 계발을 멈추지 않고 있었다. 고위공무원의 자녀와 같은 회사에서 일하는 김모(32)씨는 "고위 공무원 딸이라니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인지 그 딸을 챙겨주려는 사람이 많더라"고 말했다. 또 경영학 석사(MBA) 유학 등 재력을 기반으로 과감한 투자를 할 수 있는 덕에 발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직업지위가 낮은 부모의 자녀들은 대기업 등 원하는 기업에 입사하면 거기서 목표가 사라져 정체되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부모들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직업지위가 대물림되는 데 우려하며 청년층의 계급 이동을 돕기 위한 맞춤형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기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저소득층은 그저 빨리 취업하는 것뿐 아니라 좋은 일자리로 보낼 수 있는 복합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양한 인재 유입을 위해 기업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금재호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업도 대학처럼 다양한 채용방식을 마련해야 다채로운 인재들이 들어올 수 있다"면서 "토익과 학점 위주의 채용이 아니라 잠재력, 협력성, 진취성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그 :
대한인터넷방송
댓글 :
0
개
*댓글을 입력하세요
다음 포스트 ::
무료광고판
이전 포스트 ::
간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