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이 뭔지 도대체 모르겠네요/ 4~6페이지도 못쓰는 한심한 나의 모습 ㅜㅜ 죄송합니다.

기본카테고리 | 2015-12-13 오전 1:43:05 | 조회수 : 5771 | 공개

 

복사 http://angeldean.blog.me/150090500381

전용뷰어 보기
 

 

 

논문작성법

 

 

 

 

 

 

 

㉮ ㉯ 대 학 교

㉳ ㉴ 학 부

 

 

 

 

목 차

 

 

Ⅰ. 논문작성절차

 

1. 주제선정 ……………………………………………………………………1

가. 아이디어 착상 및 주제발견 …………………………………………1

나. 특정 논문주제의 선정 ………………………………………………2

다. 논문 주제의 평가 ………………………………………………………3

 

2. 논문계획서 작성 …………………………………………………………4

가. 논문계획서 작성의 필요성 ……………………………………………4

나. 논문계획서 작성상의 고려사항 ………………………………………5

다. 논문계획서 형태 ………………………………………………………5

 

3. 자료수집 …………………………………………………………………10

4. 원고작성 …………………………………………………………………12

가. 원고작성절차 …………………………………………………………12

나. 초고작성 요령 …………………………………………………………12

 

Ⅱ. 논문작성방법

 

1. 문장의 기본요건 ………………………………………………………13

2. 어휘와 표현 ……………………………………………………………14

 

 

 

 

 

 

 

 

 

3. 목차 번호 메기기 …………………………………………………………15

4. 문장부회의 띄어쓰기 ……………………………………………………16

5. 표와 그림 …………………………………………………………………17

6. 인용 …………………………………………………………………………18

7. 인증 …………………………………………………………………………20

8. 참고문헌 ……………………………………………………………………23

9. 부록 …………………………………………………………………………26

 

 

 

 

부 록

 

1. 논문개요제출양식 ……………………………………………………… 28

2. 논문제출양식 ……………………………………………………………29

3. 논문작성의 기본양식 …………………………………………………31

4.‘논문작성과 진로모색’수강 및 논문 제출 시기 ………………41

5. 한글 맞춤법에 대한 도움말 …………………………………………42

 

 

 

Ⅰ.논문작성절차

 

 

 

1. 주제선정

 

 

1) 아이디어 착상 및 주제발견

 

좋은 연구주제를 찾기 위해서 연구자 여러분은 흔히 네 가지 활동을 하게 된다. 즉,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생각해 보고,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상상력을 동원하여 적절한 주제를 생각해 보고, 여러 가지 관계 문헌을 읽게 된다.

 

- 개인적 경험을 주제 발견에 사용하는 일.

 

- 논문주제 발견을 위해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기.

 

- 논문주제를 발견하기 위해 자신의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마음 내 키는 대로 써보기, 중요한 단어들을 수록해 보기, 쟁점의 윤곽 써 보 기, 질문해 보기 등의 방법들이 있다.

 

- 논문주제 발견을 위해 관계문헌 읽는 방법으로 책의 목차를 흩어보는 일, 책의 내용.

 

- 색인이나 용어설명을 읽는 일, 책의 서문 읽기 등의 방법이 있다.

 

 

 

2) 특정 논문주제의 선정

 

연구할 가능성이 있는 주제분야가 정해지면 보다 가치 있는 연구논문을 쓰기 위해 세부적인 특정주제로 좁힐 필요가 있다. 즉, 먼저 잠정적으로 정한 일반주제를 쓰고 그 밑에 하위주제로 나누어 단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족스러운 주제를 발견할 때까지 계속해서 주제를 좁혀 갈 수 있다. 연구 주제를 좁히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주제를 쓰고 그 주제에 대하여 떠오르는 모든 주제를 써 보는 것이다.

 

 

태양계 - 지구 - 반구

⇨ 주제: 남아프리카의 형성

<예>

 

 

 

 

또한 주요용어를 몇 개를 조합하여 몇 개의 주제들을 머리 속에 그려보는 방법도 있다.

 

 

*운송용 *경주용 배 *개인요트

*취미, 오락 *규모, 크기

⇨ 주제: 돛달린 경주용 보트

<예>

 

 

 

 

 

3) 논문 주제의 평가

 

 

(1)논문 주제에 관해 일반적으로 점검해 볼 사항

 

 

- 선정된 주제는 자기 분야에서 또는 전공관련 문야에서 현재 흥미로움 을 갖는 주제인가?

- 선정된 주제는 전공 분야에서 부족한 면을 메울 수 있는가?

- 논문계획을 세울 만큼 주제의 세부사항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가?

- 객관성 있는 결론을 끌어낼 만큼 연구방법이 가능한가?

- 선정된 주제에 관한 문헌이 있는지?

- 학교에서 수긍하고 인정하는 주제인지?

- 재정적 지원이 가능한지?

- 자료수집이 쉬운지? 수집된 자료는 타당성이 있고 믿을 만한지?

-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목표, 연구절차, 제한점 등은 분명히 제시 할 수 있는 주제인가?

- 자신이 끝까지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주제인가?

 

 

 

(2)연구논문 주제로 피해야 할 주제들

 

다음 사항은 논문 주제로 피해야 할 경우이다.

- 다른 사람이 써 놓은 논문 주제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 어떤 한 자료에서 필요한 정보를 다 인용하는 경우

- 결론이 부적절하게 나오는 주제

- 논문을 끝마칠 때까지 자신의 흥미를 계속 유지할 수 없는 주제

 

 

2. 논문계획서 작성

 

1)논문계획서 작성의 필요성

 

연구주제가 선정된 다음 논문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일이다. 논문계획서는 특정 연구수행에 있어서 설계도와 같은 것으로서 계획서를 작성했을 때 오는 장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논문계획서를 작성함으로써 연구문제와 연구진행과정에 관하여 보다 조직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되어 연구계획에 있어서의 결점이나 불리한 점을 사전에 쉽게 찾아내어 교정할 수가 있게 된다.

 

- 연구진행에 앞서서 필요한 자로의 수집과 진행절차를 명백히 해준다.

 

- 지도교수 등 타인에게 연구계획에게 관한 비평과 제안을 받고자 할 때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적인 방편이 된다.

 

 

 

 

 

 

2) 논문계획서 작성상의 고려사항

 

- 논문계획은 연구의 주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고 종합적인 사고과정을 거쳐서 구상하여야 한다. 즉, 연구 주제는 의의 있을 뿐만 아니라 해결가능한 것이어야 하고, 연구방법은 연구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이어야 한다. 또, 연구결과는 학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상은 일관성 이 있고 종합적, 과학적인 사고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져야 한다.

 

- 논문계획은 타당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해서 구상하여야 한다. 이론 이 없는 논문계획은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 모든 논문계획은 포괄적이 고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원리적인 것, 체계 있는 정리된 법칙, 논리적 인 모형, 그리고 이론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특히 이 론적 배경을 경시하기 쉬운 조사연구, 실험연구 또는 실천연구 등에서 도 이론적인 근거를 두어 논문 계획을 구상하도록 한다.

 

- 논문계획에서는 명확한 연구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즉, 논문계획은 연구방법에 관한 설계라고도 할 수 있으므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명백 하고도 충분한 증거와 기준, 비교, 통제가 가능한 조건, 조치 등을 포 함한 연구방법을 명시해야 한다.

 

3) 논문계획서의 형태

 

논문계획서에서 필수적으로 제시하여 할 최소한의 항목을 연구주제, 문제의 진술, 이론적 배경, 연구의 방법, 예상되는 결과, 참고문헌 등이다.

 

 

 

(1) 논문제목

 

논문의 제목은 그 제목만 보더라도 즉시 무슨 연구인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포괄적이고 간결 명료하게 연구의 내용 ․ 방법 ․ 대상이 제시되어야 한다. 연구제목은 표현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그 길이가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게 적당하며, 연구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가 너무 짧게 표현되어 그 뜻이 모호해질 우려가 있을 경우에 한해서 부제를 달기도 한다.

 

(2) 연구의 필요성/ 문제제기

 

여기서는 연구주제나 연구문제가 제시된 필요․동기․취지․이유․원인 중요성 또는 연구의 개요 등이 기술된다. 즉, 학문적․실제적 중요성을 밝혀 내기 위해서 구명해야 할 연구의 동기 또는 이유가 무엇인지, 연구주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와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 등을 간결명료하게 줄여서 기술해야 한다. 연구의 필요성은 때로는 연구의 목적에 포함시켜서 서술하기도 한다.

 

(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연구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 정치제도와 다른 정치제도의 비교라면 그 비교고찰에서 양정치제도의 장단점을 가려내는 일이 목적이 된다. 또, 연구방법이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면 어떤 현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이론이나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정책문제를 다룬 경우는 그로부터 자기 나름대로의 개선방향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 된다. 연구의 목적에서는 연구의 필요성에서 논급된 연구의 동기 취지 이유 등에 근거해서 연구의 방법이나 초

 

점 또는 기본목표 등을 논리적 분석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기술방식은 제기된 연구의 방향이나 초점을 제시한 다음 가능한 한 항목별로 개조식으로 쓰고 논리적 순서에 따라 배열하도록 한다.

 

(4) 연구의 의의

 

연구의 목적이 기술되면 수행되는 연구가 어떠한 중요성을 띄는가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즉,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는 왜 필요한 것이며, 어떤 의의를 갖는 것인지 충분히 진술해야 할 것이다. 그 연구가 해당분야의 문제해결이나 방향제시 또는 연구결과에 어느 정도 기여하게 되는지를 언급해야 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앞서 논급된 연구의 필요나 연구의 목적과 엄격히 구별하여 그 연구의 가치 또는 학문발전에의 직접적인 공헌도 내지 기여도를 방법적 이론적 실제적 측면 등에 중점을 두어 기술해야 하는 점이다.

 

(5) 이론적 배경

 

특정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원리 법칙 이론 및 선행연구의 결과 등을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당연히 기존의 이론, 관련문헌 또는 선행 연구물 등을 중심으로 해서 기존의 이론을 긍정․발전․수정․부정의 여부를 밝히고, 선행연구 결과의 특징 및 장․단점 등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연구는 어떤 측면에서 접근해갈 것인지를 제시한다. 그리고 자신의 연구 주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에 기본이 되는 이론․전제․가정․명제들이 무엇인가를 논리적 일관성에 따라 명백하게 논급해야 한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은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가설설정의 근거 또는 배경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6) 가설의 제기

 

연구자가 실증적 연구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설을 설정하게 된다. 좋은 가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 동일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

-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한다.

- 조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은 논리적으로 간결해야 한다.

- 가설은 계량적인 형태를 취하거나 계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설검증의 결과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7) 연구의 방법

 

연구자는 서론부분에서 자신의 연구방법 및 절차를 요령 있게 대강 소개하여야 한다. 즉, 문헌적 연구인지 또는 가설검증의 연구인지를 뚜렷이 밝혀야 한다. 특히, 사회과학부문의 논문에서 최근에는 과학적인 접근법이 중요시되고 있으므로 어떤 연구방법을 적용했는지를 기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떠한 연구방법을 적용하든지 간에 연구자가 왜 그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는지에 관해서도 설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구절차에서는 어떤 방법과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해 나갈 것인가를 밝혀야 한다.

 

 

 

 

 

 

 

(8) 연구의 일정과 조직

 

수행하는 연구의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서 연구일정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는 대체로 많은 날들이 소요됨과 동시에 정해진 기한이 있기 마련이므로 일정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연구를 진행시키는 것이 좋다. 연구일정은 자료수집기간, 논문원고 작성기간, 수정기간 및 논문인쇄기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예> 연 구 추 진 일 정

 

 

내용

 

1

 

2

 

3

 

4

 

5

 

6

 

7

 

8

 

9

 

10

 

 

 

 

 

 

 

 

주제결정

 

 

 

 

 

 

 

문헌수집

 

 

 

 

 

 

 

연구설계

 

 

 

 

 

작 성

 

 

 

 

 

 

 

수 정

 

 

 

 

 

 

 

 

 

인 쇄

 

 

 

 

교수면담

 

 

 

(9) 참고문헌

 

논문계획서에서 참고문헌이나 관계문헌의 목록을 작성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논문을 쓰기 위하여는 먼저 연구에 필요한 관련 자료나 문헌들을 충분히 수립하여야 한다.

 

 

 

 

(10) 부록

논문의 말미에 오는 부록란에는 보고서의 목차, 활용할 각종의 도구(조사표등), 본문에 수록되지 못한 주요한 자료 등을 제시한다.

 

(11) 논문목차

논문 제출시에는 반드시 논문 목차를 첨부하여야 한다.

 

(12) 기타

이상에서 논문계획서에 기술되어야 하는 여러 항목들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논문계획서에는 이밖에도 주요용어의 정의, 가정, 범위 및 제한점 등이 기술되기도 한다. 특히, 새로운 학술용어를 자신이 만들어 쓰는 경우 용어정의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서론 부분에서 미리 앞으로 사용하게 될 용어의 개념이나 정의에 관해 충분한 설명을 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불과 한 두 번 밖에 사용하지 않는 술어나 용어라면 각주에서 설명하는 것으로서 충분하다. 또한 논문에는 반드시 특정문제를 다루는 범위와 제한점이 있다. 논문의 주제 또는 자료에 따라, 또는 준비기간에 따라 논문의 내용과 범위는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서론 부분에서 논문의 제한점을 미리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자료수집

 

논문에서는 문헌자료만이 아니라 실험이나 관찰, 또는 현장조사 등으로 얻어지는 자료, 개인이나 집단과의 면담에서 얻어지는 사실 등이 필요하

 

 

 

 

다. 이러한 자료수집의 첫 단계는 참고문헌을 선정하는 일이고 다음에는 자료수집의 방향이나 목표를 정하는 일이며, 마지막으로 각종 문헌을 읽고 여기에서 얻은 정보를 기록하는 일이 엄밀한 의미의 자료수집이다.

 

1)문헌조사

 

연구논문이라는 것은 연구 주제에 관련된 사실들과 그 주제에 관한 다름 사람들의 생각과 주장들이 어떠한가를 모두 알아내어 이를 연구자의 사고에 따라 연구자 자신의 말로 새롭게 엮어 내놓는 것이므로 연구논문을 쓰기 위하여는 문헌조사 과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연구논문을 쓰기 시작하기 전에 문헌조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이론적 기초와 가설 설정의 근거를 마련 할 수 있다. 또한 해당분야의 연구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이제까 지 다루어져 온 진부한 내용의 연구논문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연구의 범위와 연구해야 할 문제점이 더욱 명료해질 수 있다.

 

-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발행여부를 알 수 있게 되므로 당장 입수할 수 없는 자료인 경우에도 이를 계속 추적하여 구해 볼 수 있게 된다.

 

- 문헌조사를 하는 동안 해당 주제의 저자명, 서명 등에 대한 지식을 얻 게 되고 연구방법에 대한 안목이 생기게 되므로, 연구활동에서 새로운 접근 방법의 실마리를 찾을 수가 있다. 문헌조사시에 발견하게 되는 모 든 자료에 대하여 참고문헌카드와 내용카드를 작성하게 되면 논문 쓰기 가 매우 쉬어진다.

2) 실증적 조사

 

연구논문의 작성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은 문헌적 연구방법 외에도 연구자 또는 조사자의 실제조사를 통한 연구, 즉 실증적 조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실증적 조사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질문지조사, 면접조사, 관찰조사, 실험조사 등이 있다.

 

4. 원고작성

 

1) 원고작성 절차

 

문헌조사나 실증적 조사를 통해서 자료수집이 일단 완료되면, 모든 자료를 검토하고 조절해서 초고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최종주제문, 논문 제목, 최종논문개요가 준비되어 있다면 원고작성이 한층 수월해 진다. 원고작성 단계에서는 논리의 일관성, 각종 표기 및 양식의 정확성과 통일성, 지정된 논문의 형식과 체제를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초고작성 요령

 

- 목차를 검토해야 한다. 초고작성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잠정적 으로 설정했던 목차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이론과 연구결과를 전개할 수 있도록 목차를 다시 조정해야 할 것 이다.

 

 

 

 

 

- 초고작성의 순서를 정한다. 초고를 쓰는 순서는 대체로 서론 부분을 가장 먼저 쓰고, 본론 및 결론부분을 차례로 써 나간다. 그러나, 서론을 기술하는 일은 생각보다 매우 어렵고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본론을 먼저 쓰고 나서 논문전체의 윤곽이 파악된 다음에 서론 을 쓰는 것이 쉬울 때가 많다.

 

- 초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즉, 오자, 구두점, 띄어쓰기, 논문 전체 의 통일성 등을 살펴야 한다.

 

 

 

 

 

 

Ⅱ. 논문작성 방법

 

 

 

1. 문장의 기본요건

 

논문은 사상과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 되므로 전달을 매개하는 언어를 효율적으로 구사하는 기술, 즉 문장기법이 중요시된다. 일반적으로 논문 문장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요건은 다음과 같다.

- 논문의 문장은 명확성을 요건으로 한다. 논지의 정확성을 생명으로 하는 논문의 문장에서는 문장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어휘와 단어 의 선택, 약자와 구두점 등을 정확하게 선택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 논문의 문장은 간경하여야 한다.

 

- 논문의 문장은 평이하여야 한다.

 

- 논문의 문장은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 용들은 서로 한데 묶어 기술하도록 하며, 구두점을 찍는 데에도 정 해진 기준에 따르도록 하고 문자의 배역도 통일성 있게 해야 한다. 또한 단락을 적절히 나누어 서술하는 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

 

2. 어휘와 표현

 

1) 외래어의 표기

외래어로 된 전문적인 술어의 표기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른다.

 

- 가급적이면 모든 술어는 역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역어에 관해서 연구자간에 통일성이 없거나 그 사용이 빈번치 않은 특수한 술어는 반드시 원어를 기입하되, 처음 한 번에 한한다.

 

- 역어에 대해서 원어를 표기하는 경우에는 ( )속에 삽입한다. 이 때 고유명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실험주의 (experimentalism)

 

- 적절한 역어가 없거나 공통된 역어를 발견하기 어려운 때에는 원어 의 음을 한글로 표기하고 ( ) 속에 원어를 삽입한다.

<예> 오리엔테이션 (orientation)

 

 

 

- 사람이름일 경우 원어를 그대로 쓴다.

<예> Luia의 연구에 따르면...

 

- 발음하기 힘든 외국어의 경우 원어를 그대로 쓴다.

<예> Haque

 

 

2) 경칭 경어의 사용

논문의 본문에서는 경칭․경어 EH는 비칭․비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생존한 은사의 학설이나 저술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라도 ‘선생’, ‘교수’ 및 ‘박사’ 등의 경칭을 붙일 필요가 없다.

 

3) 표현상의 기법

논문에서는 최상급이나 단정적인 표현을 삼감으로써 추후에 있을지도 모를 반증을 회피할 수 있다. 이리하여 대체로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이라든가 “지금까지 발표된 바에 의하면” 등과 같은 문구를 사용하여 미리 한계를 긋거나 빠져나갈 구멍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목차 번호 메기기

-목차는 계단식 배역을 원칙으로 한다.

번호 배열방식은 ‘Ⅰ-1-1)-(1)-가‘의 순으로 한다.

 

- 로마자, 아라비아 숫자, 괄호문자, 원 문자 등의 표시 문자 뒤에는 한 칸 띄운 뒤 제목을 쓴다.

 

 

 

 

<예>

 

Ⅰ.∨서론

1.∨지방행정전산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1)∨지방행정전산화의 의의

(1)∨지방행정전산화의 개념과 특수성

가.∨전산조직 분석

 

 

- Ⅰ에서 1로 목차번호가 바뀔 때 두줄을 띄우고, 1에서 ‘1)’로 ‘1)’에 서 ‘2)’로 바뀔 때마다 한 줄씩 띄운다. (1), (2)로 바뀔 때는 글 씨만 진하게 한다.

 

<예>

 

Ⅰ.

∨1.

∨∨1)

∨∨2)

 

 

 

4. 문장부호의 띄어쓰기

- .∨∨: 문장이 끝난 마침표 뒤에는 두 칸 띄운다.

 

- ,∨: 쉼표 뒤에는 한 칸 띄운다.

 

- !∨∨: 느낌표 뒤에는 두 칸 띄운다.

 

- ?∨∨:물음표 뒤에는 두 칸 띄운다.

 

- (:∨): colon은 앞 문장이나 단어의 바로 뒤에서 시작하고 뒤에는 한 칸을 띄운다.

 

- (;∨): semicolon 뒤에는 한 칸 띄운다.

 

5. 표와 그림

표와 그림에는 반드시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메기고, 아울러 표제나 간단한 설명문구를 달도록 한다. 이 때 번호는 논문에 실린 순서를 따른 일련번호가 되도록 한다. 표와 그림에 대한 설명이나 내용에 관한 주나 출처 표시는 표․그림의 바로 아래에 붙이고, 일반 각주와 함께 다루지 않는다.

 

<예>

[표 29] 노인의 지역․결혼상태별 희망 거주형태(60+)1)

(단위: %)

 

 

전체

지역

결혼상태

 

시부

군부

유배우

무배우

혼자(부부)만 따로

46.4

41.3

53.1

58.0

31.0

장남과 같이

34.0

35.4

32.2

28.3

41.5

아들 중 한명과 같이

8.2

8.7

7.6

4.9

12.6

딸과 같이

2.4

3.4

1.2

1.2

4.0

마음이 가장 맞는 자녀와

2.6

3.1

1.9

1.7

3.7

기타

1.2

1.4

0.9

0.3

2.3

모르겠다

5.2

6.8

3.2

5.5

4.8

100.0

100.0

100.0

100.0

100.0

(명)

(1,936)

(1,105)

(831)

(1,103)

(833)

 

 

 


주: 1) 대리응답 111명, 무응답 10명 제외함.

자료: 이가옥 외,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 원,1995

 

 

표․그림의 위치는 본문에서 이것에 대해 언급된 곳에 되도록 가깝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문에서 표 또는 그림을 가리키는 겨우 “위 그림....” 또는 “다음 표에서....”와 같이 막연한 표현을 쓰지 말고, 반드시 표나 그림의 번호를 붙여 “위의 표 1에서” 또는 “아래 그림 1에서”와 같이 다루도록 한다.

 

 

6. 인용

 

인용은 타인의 논문이나 저서의 일부를 그대로 또는 그 내용을 자기 논문에 적절히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원문을 그대로 인용하는 것을 직접인용, 그리고 그 내용만을 간추려 소개하는 것을 간접인용이라 한다. 인용은 증거로서의 가치가 충분하여야 하며 남용되어서는 안되며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직접인용

-직접인용이란 원문 그대로 수정없이 인용하는 것이다.

 

- 인용문이 짧은 경우에는 직접인용 부분의 앞뒤에 따옴표로써 표시 한다.

<예>

 

Heidegger는 말하기를 “모든 사람은 언제나 자신의 가

능성에 따라서 자기 자신을 투기한다”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직접인용이 본문에서 처리도리 경우에는 반드시 따옴표를 붙여야

 

하지만 이때 인용부분의 일부에 이미 따옴표가 쓰여 있으면 작은 따옴표를 사용한다.

 

- 인용문이 길 경우(보통 3행 이상일 경우)에는 행을 바꾸어 본문의 좌단에서 우측으로 3자의 간격을 두어 시작하여 인용부분의 상하와 본문 사이에 2행 정도의 사이를 비워 둔다. 그리고, 인용부분은 본 문보다 작은 활자로 조판하여 행 사이도 좁게 한다.

 

사람의 존재는 실존이 모든 것보다 앞선다. 실존은 가장 근본 실천적이고 가장 최종적인 현실이다. 이러한 최종적인 현실로서 실존은 이성이 도달할 수 없는 부조리한 존재현실이며 역설적인 존재현실이다.(석지원, 1991, p21).

<예>

 

 

 

- 인용하는 원문의 일부분을 생략할 경우에는 줄임표(....)를 표시한다.

<예>

 

“사회현상을 바르게 이해하여. . . . 민주시민으로 상장한다.”

 

 

 

2) 간접인용

- 원 저자의 원문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타인의 견해를 풀이해서 그 내용만을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용부호는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간접인용이 경우 인증방식을 사용한다.

 

 

 

 

7. 인증

연구 논문을 쓸 때에는 직접인용과 의역뿐만 아니라 정보와 의견 등 남에게 비린 모든 자료의 출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인증방법에는 본문내 인증방법과 주를 다는 방법이 있다.

성공회대학교의 인증방식은 내각주를 원칙으로 한다. 이 방식에서는 본문내의 짤막한 괄호안 인증과 논문 끝에 있는 참고문헌과 짝맞춤으로써 거의 모든 설명적 각주나 후주의 필요성을 없애 버리는 것이다.

 

1) 내각주

- 이 방법은 논문의 본문 중 해당 부분 바로 다음에 ( )를 하고, 그 속에 저자명(동양인의 경우는 성명을 전부 쓰고, 서양인의 경우는 성만 쓸 것)을 쓰고, 쉼표를 찍고, 다음에 년도를 쓰고, 쉼표를 붙 인 후 페이지 번호를 쓴다.

<예>

 

우리 나라 주택정책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도 복지적 목적을 정 책결정의 주요인으로 강조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경기조 절을 정책의 주 목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양재섭, 1991, pp.132-134).

 

 

<예>

 

기존의 엘리트론과 다윈론의 논쟁을 해결할 목적으로 정책유 형에 따라 정책결정의 정치적 과정이 달라진다(Lowi, 1972, pp.2-3)

 

 

 

 

 

 

- 저자가 4명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저자명만을 쓰되 동양인의 경우에 는 “000외”, 서양인의 경우에는 성 다음에 “et al."을 사용한다.

 

<예>

 

정책결정자나 정책분석가가 고도의 합리성을 가지고 주어진 목적의 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서의 정책대안을 찾아낼 수 있다는 전제에 입각하였다(정정길 외, 1998, pp.134-135).

 

 

<예>

 

정책지지연합은 모형을 통하여 신념체제를 공유하는 지지연합 이 변화되어 저책변동이 발생한다,(Sabatier er al, 1998, pp.6-9).

 

 

- 같은 저자의 책(논문)이 같은 연도에 여러 권이 인용되는 경우에는 연도 다 음에 서명(논문명) 가나다 또는 알파벳순으로 a, b, c 등의 문자를 붙이고, 참고문헌과 동일한 기호(a, b, c)를 기재해야 한다.

 

<예>

 

노인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노인 자신의 복리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결정도 가능하면 노인 자신 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최성재, 1981a, 200).

노인은 복지사업은 정부의 주어진 재정적 및 사회적 여건하에 서 노인의 욕구에 따라 선별적 원칙과 보편적 원칙을 적절히 적 용해야 한다(최성재, 1981b, 24).

 

 

 

2) 부연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 사용

- 이 방법은 논문의 본문 중 해당 부분 바로 다음에 윗첨자를 사용한 번호를 부여하고, 본문의 같은 쪽 아래에서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한글 2.5이상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일한 번호로 처리됨).

 

- 각주에서 인용문헌을 기재하는 경우에, 영문 저자의 이름은 First Name을 쓴 후에 Last Name을 쓴다.

 

- 각주에서 바로 위의 번호에서 참고로 한 책(논문)을 다시 인용하는 경우에 는, 인용문헌을 다시 쓸 필요 없이, ‘위의 책(글)’로 명기한다.

 

- 각주에서 바로 위의 번호에서 참고로 한 책(논문)은 아니나, 본문에 서 한번 인용된 적이 있는 책(논문)을 다시 인용하는 경우에는 ‘앞의 책(글)’이라고 명기한다.

 

- 인증한 문헌의 페이지를 명기한다(각주에서 인증한 페이지는 p.12같 이 명기하고, 두 페이지 이상일 때 pp.12-20같이 명기한다).

 

- 재인용한 경우에는 반드시 이를 명기한다.

 

 

- 단행본:

저자명,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연도, 거재면수.

저자가 4명 이상:

000외,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여도, 거재면수.

단체가 저자:

단체명,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연도, 거재면수.

 

정기간행물:

저자명, “제목,” 책명, 권(호), 거재면수.

 

편집자:

000 편,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연도, 거제면수.

 

번역자:

저자명, 책명, 000 역, 출판지역: 출판사출판연도, 거재면수.

 

※ 참고문헌: 저자명. (출판연도).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예>

 

1) 본 연구의 표본추출과 관련된 세부사항에 관하여는 부록 C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2) ‘가족’이란 성관례를 허용 받은 최소한의 성인남녀와 그 들에게서 출생하였거나 양자로 구성되어, 공동의 주거, 경제협력과 생 식을 으로 하는 사회집단으로 정의되고 있 다 (최성재, 노인복지학, 1991, pp.185-196; 이가옥 외, 1989, p.87에서 재인용, 노인가구의 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8. 참고문헌

- 참고문헌은 국문의 경우에는 가나다 순으로, 영문의 경우에는 알파 벳 순으로 배열한다.

 

- 저자명을 쓰고 한 칸 띄우고 ( )안에 출판연도를 적은 후 책명, 출 판사순(지역기재)으로 적는다.

 

 

 

- 책명 또는 잡지명은 밑줄로 표시할 것(영문, 국문, 일문 동일).

 

- 참고문헌이 두 줄 이상일 경우 둘째줄부터 3칸 들어가서 시작한다.

 

- 논문제목을 “ ”로 표시하며, 해당 논문의 page를 명기 할 것.

 

- 저자가 다수일 경우라도 전부 쓸 것(3명까지는 다 기재하고 그 외에 는 ‘외’로 표시).

 

- 영문 저자의 경우, Last name을 먼저 쓴 후에 쉼표(,)를 하고, 그 다 음에 First name을 쓴다. 단, 두 번 째 저자부터 이름을 먼저 쓴 후 에 쉼표(,)없이 성을 쓴다.

 

단행본:

저자명. (출판연도). 책명. 출판지역: 출판사.

잡지: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제목.” 잡지명. 권수(호). 거재면수.

단체나 기관이 저자인 경우:

저자명 대신 기관명을 쓰고, 그 외에 표기방법은 단행본이나 잡 지의 표기방법에 준한다.

합저중에서 뽑는 경우:

저자명. (출판연도). “제목”. 000(편), 책명. 출판사.

편집자만 있는 경우:

000(편). (출판연도). 책명. 출판사.

번역자만 있는 경우:

책명. (출판연도). 000 역.

 

 

저자와 번역자가 있는 경우:

저자명. (출판연도). 책명. (000 역). 출판사.

저자, 역자, 편집자가 있는 경우:

저자명. (출판연도). 책명. 000(편). 000 역. 출판사.

 

 

 

 

• 단행본:

최현배. (1959). 우리말본. 서울: 정음사.

Soal, S.G.(1954). Moder Experiments in Telepathy.

London: Faber and Faber

 

 

• 잡지:

정영철. (1994). “보건지소 단위의 1차진료사업 정보 체계 개발.” 보선사회논집. 제14권. 제1호. pp.53-66.

Gorge, V. (1993). "The Aims and Cobnsequences of Social Policy." Population. Vol13. No3. pp.147-169.

 

 

• 단체가 저자인 경우:

한국종교학회. (1985). 한국신종교실태 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종교학회.

 

 

• 합저중에서 일부 뽑은 경우:

유영익.(1983). 동아시아 속의 한미 관계. 한국정신문화 연 구원(편), 한미수교의 전망(pp.35-40). 서울: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 편집자만 있는 경우:

한용운(편). (1914). 불교대전. 서울: 삼중사.

Letheridge, S., & Cannon, C.R. (Eds.). (1980).

Bilingual education. New York: Praeger.

 

• 번역자만 있는 경우:

탈무드. (1975). 이경채 역.

Borroff, M. (Trans). (1967). Sir Gawain. New York: Norton

 

• 저자와 번역자가 있는 경우:

펄벅. (1960). 친성. (이경채 역). 서울:삼중사.

 

•저자, 역자, 편집자가 있는 경우:

렛셀. (1958). 서양 철학사. 문교부(편). 정석해 역. 서울: 대 한교과서.

Dostoevsky, Feodor. (1964). Crim and punishment. (Jessi Coulson, Trans. george Gibian, Ed.). New York: Norton.

 

 

9. 부록

 

부록은 참고문헌 다음에 온다. 본문에 넣으면 너무 번잡하거나 분량이 많은 것 또는 참고적인 자료와 증거자료가 되는 것은 부록으로 하여 수록한다. 예를 들면, 조사양식, 질문지 내용, 상세한 통계표 등 관계되는 내용의 분량이 많을 때 부록으로 두어 독자로 하여금 참조하게 한다. 부록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시 본문에 참조를 달아서 부록을 참조할 수 있도록 언급한다.

 

 

부 록

 

 

 

 

 

 

 

 

 

 

 

 

 

 

 

 

 

 

 

 

1. 논문개요제출양식

2. 논문제출양식

3. 논문의 기본 양식

4. 성공회대학교 졸업논문 규정

5. 한글 맞춤법

 

 

 

 

 

논문개요 1(번호) 1996.X5.XX.

 

 

제 목

 

 

제출자: 0 0 0

 

 

 

 

1. 문제제기(연구의 필요성 및 예정)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내용

 

5. 기대효과

 

6. 연구일정

 

7. 참고문헌

 

1. 논문개요 제출양식

 

 

2. 논문양식

* 성공회대학교 학위논문은 아래의 체제와 양식에 따라 작성해야 한다.

 

 

 

 

1) 서두

- 표제지

- 인준서

- 논문초록: 논문의 목적과 연구의 배경과 범위 및 전반적인

성격들을 간단히 기술한다(쪽번호는 로마자 소문자

로 나간다).

- 감사의 글

- 목차

- 그림 및 표목차: 본문에 나오는 순서에 따라 표는 표대로,

그림은 그림대로 따로 목차를 만든다.

 

 

 

 

2) 본문

(1) 서론

- 서론 첫 장에서 아라비아 숫자 1페이지가 시작된다.

- 서론은 논리적이며 간결하게 작성하며 논문의 주안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 서론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은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논제에의 접근방법, 그리고 관련 있는 선행연구의 간단

한 소개와 비판 등이다.

- 특수용어나 명칭이 사용되면 그 정의나 설명을 부가한다.

 

(2) 본론

본론은 문헌적 서술적인 방법을 사용한 경우, 통상적으로

이론적 고찰, 현황 및 실태분석,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구성

된다.

 

(3) 결론

논문 전체를 요약하는 부분이다. 그 논문에서 해명하지 못 했지만 연구 할 가치가 있거나, 계속 연구할 문제점도 아울러 제시한다.

 

(4) 참고자료

- 참고문헌의 배열은 국내문헌, 외국문헌의 순서로 배열한다.

 

- 국내서적, 논문, 기타의 순으로 배열하고, 가나다 또는 알파 벳 순으로 배열한다.

 

- 부록

 

 

 

 

 

 

 

 

 

 

3. 논문작성의 기본양식

 

1) 표지, 표제면

* 표지 다음에 백지를 1매 삽입한다. *표제면은 표지와 동일하게 한다.

 

 

 

학사학위 논문(13, 신명조)

 

논 문 제 목 (16, 신명조)

 

- 부제목 -(15, 신명조)

 

지도교수: 0 0 0(13, 신명조)

 

 

 

 

 

 

1 9 0 0 년 0 월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0 0 0 (13, 신명조)

 

 

 

 

 

2) 인준서

* 글씨크기13, 신명조

 

 

 

학사학위논문

 

논 문 제 목

 

- 부제목 -

 

지도교수: 0 0 0

 

 

 

이 논문을 학사학위 논문으로 인준함.

 

19 년 월

 

000의 사회복지학과 학사학위 논문으로 인준함.

 

19 년 월

 

 

위원장:

위 원: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3) 목 차

* 오른쪽 여백, 왼쪽 여백, 위 아래여백: 본문내용과 동일하게 한다.

* 글씨크기, 모양, 줄간격은 본문내용과 동일하게 한다.

 

<예>

Ⅰ. 서론

∨∨1. 000000 ..............................(쪽번호 앞은 점선으로 연결한다)

∨∨∨가. 00000000 ..........................

∨∨∨∨1) 0000 ................................

 

 

목 차 (13, 신명조)

 

Ⅰ.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본론으로 쓰지 않고 제목을 따로 정한다)

1. 정책결정론

1) 정책결정요인론 ................................................................................................ 5

2) 의사결정형태론 ................................................................................................ 6

 

2. 설명틀의 구성 .................................................................................................... 7

1) 설명 모형 ......................................................................................................... 8

2) 연구과제 ........................................................................................................... 10

 

Ⅲ. 결론

1. 연구결과 ............................................................................................................. 11

2. 정책적 제언 ....................................................................................................... 12

 

참고문헌 ..................................................................................................................... 13

 

-ⅰ-

 

 

 

 

 

 

4) 표 목차, 그림 목차

* 표 목차와 그림 목차는 목차의 형식과 동일하게 하고, 표의 번호를 쓰고 표의 제목을 쓴 후 쪽번호를 기입한다.

 

 

<그림 목차> (13, 신명조)

 

<그림 1> 1993년 인구분포 ....................................................... 6

 

 

<표 목차> (13, 신명조)

 

<표 1> 1995년 인구분포 ........................................................... 5

 

 

 

 

 

 

 

5) 참고문헌

* 오른쪽여백, 왼쪽여백, 위 아래여백: 본문내용과 동일한 형식으로 한다.

* 글씨크기, 모양, 줄간격은 본문내용과 동일한 형식으로 한다.

* 참고문헌이 2줄 이상일 경우 다음 줄로 넘어갈 때 3칸 들어가서 쓴다.

 

 

 

참고문헌 (13, 신명조)

 

▶ 국내문헌(12, 신명조)

고철․염돈민․진정수․김석위. 91998). 사회주택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구자순. (1985). “한국노년학의 위치.” 노년학. 제5호. pp3-13

 

 

 

 

 

 

 

김광웅. (1992). 도시경제론. 서울: 홍문사.

 

김석준. (1991a). "국가위기이론의 적절성과 제 6공화국 국가위기의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 25집. 1호. pp.23-34.

 

. (1991b). 경제민주화 정책, 국가능력, 국가 역할. 서울: 법문사.

 

박은자․최성용․박종서. (1991). 논문작성의 이론과 실제. 서울: 수서원

 

윤 진. (1985).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한철하. (1991). 철학의 이해. 문교부(편). 서울: 대한 교과서

 

황의록․이은경. (1992). “한국노인산업의 현황과 전망.” 노령화와 노인소비자(세미나 자료). 서울: 한국소비자학회

 

 

▶ 외국문헌

 

Adams, B.N. (1993). Kinship in an Urban Setting. Ham Publishing Co.

 

Adams, D.L. (1971). "Correlates of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11. pp.664-88

 

Bekker, L.M. Taylor C.(1996). "Attitudes toward Aging in a Multigenerational Sample". Journal of Gerontology. 21, pp.115-118.

 

Robert H. (1985). The social sciences. George Gibian(Ed). new York: Academic Press.

 

 

 

 

 

 

 

6) 기본양식

* 기본양식은 B5용지를 기준으로 한다.

* 논문 실제용지 크기는 가로 19.5cm 세로 36cm 한다.

 

 

(1) 여백주기

- 위 쪽: 22.0

- 아래쪽: 23.0

- 왼 쪽: 32.0

- 오른쪽: 32.0

 

(2) 문단모양

- 오른쪽여백: 0

- 왼쪽여백: 0

- 줄 간 격: 180

- 정렬방식: 혼합방식

 

(3) 각주옵션

- 본문, 선 3.005

- 각주, 선 3.005

- 각주사이 1.001

- 번호사이 1)

- 선모양 5cm

 

(4) 쪽번호

- 목차, 표 목차, 그림목차의 쪽번호 -ⅰ-, -ⅱ-.....

(쪽번호 위치: 5, 쪽번호 모양: 5)

 

 

- 서문목차 - 1 -, - 2 -, - 3 -....

(쪽번호 위치:5, 쪽번호 모양: 3)

 

 

(5) 글자모양

* 표와 그림은 본문의 글씨크기 보다 한 단위 낮은 것으로 한다.

* 표 목차, 그림 목차는 본문과 같은 크기와 글꼴로 한다.

 

 

 

크 기

장 평

자 간

글 꼴

속 성

15

98

5

그래픽

×

1

14

98

0

중고딕

×

1)

12

98

0

신명조

×

(1)

11

98

0

신명조

×

내 용

11

98

-2

신명조

×

각 주

9

98

0

신명조

×

참고문헌

11

98

-2

신명조

×

 

 

 

 

 

4. ‘논문작성과 진로모색’ 수강 및 논문 제출 시기

 

 

- ‘논문작성과 진로모색’은 1학기와 2학기 모두 개설한다.

 

- 봄학기(전기졸업)에 졸업하는 학생들은 1학기에 개설되는 ‘논문작 성과 진로모색’을 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가을학기(후기졸업)에 졸업하는 학생들은 2학기에 개설되는 ‘논문 작성과 진로모색’을 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논문 제출은 졸업하기 6개월 전에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2월에 졸업하는 학생들은 6월말에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 8월에 졸업하는 학생들은 12월말에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

 

 

 

 

 

 

 

 

 

 

 

 

 

 

 

 

 

 

 

 

 

 

5. 한글 맞춤법에 대한 도움말

 

* 일반적으로 혼동하거나 틀리기 쉬운 것들을 모아 한글 맞춤법

표준 규정과 함께 실었습니다.

(그 예는 여러 문헌에서 따온 것이므로 참고하시어 보고서 작성

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 문장부호

 

1) 마침표( . )

가) 가로쓰기에서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구실을 한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 압록강은 흐른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나)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적에 쓴다.

1919. 3. 1.(1991년 3월 1일)

1994.10.17.(1994년 10월 17일)

 

다) 표시문자 다음에 쓴다.

1. 마침표 ㄱ. 준말 가. 인명

 

2) 쉼표( , )

가)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 립 공원이다.

※다만: 조사로 연결될 적에는 쓰지 않는다.

- 매화와 국화와 난초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나)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다)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아무튼, 나는 집에 돌아가겠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런데 등) 뒤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라)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쓴다.

15,314 234,473,129

 

3) 가운뎃점( ․ )

가) 쉼표로 연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쓴다.

공주․논산․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구회의원을 뽑는 다.

 

나) 특정한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3․1운동 8․15해방

 

다)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서 쓴다.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4) 묶음표[括弧苻]

가) 괄호의 배열: ( ) <{ }< [ ]

나) 대괄호([ ])의 용례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르 때

나이(年歲) 낱말(單語) 손발(手足)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에 대한 개념들

 

나. 외래어 표기법

1) 표기 세칙 - 영어의 표기 세칙만을 정하였으니 참고하십시오.

가) 영어의 표기

(1) 받침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gap 갭 cat 캣 book 북

act 액트 workshop 워크숍

(2)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cheese 치즈 (○) 치이즈 (×) 치-즈 (×)

margarine 마가린 (○) 마아가린 (×) 마-가린 (×)

route 루트 (○) 루우트 (×) 루-트 (×)

part 파트 (○) 파아트 (×) 파-트(×)

(3) 어두에 마찰음 ‘s', 'z' 등이 올 때에는 센 발음을 쓰지 않는다.

sit-in 싯인(○) 앁인 (×) 씻인 (×)

signal 시그널 (○) 씨그널 (×)

jazz 재즈 (○) 째즈 (×)

jam 잼 (○) 쨈 (×)

(4) 마찰음 ([s], [z], [f], [v], [ ], [ ], [ ], [ ])

(가) 어말의 [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 ]는 ‘슈’로, 모음 앞

의 [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셰’, ‘쇼’, ‘시’로

적는다.

flash 플래시(○)플래쉬(×) shrub 슈러브(○)슈럽(×)

shark 샤크(○)샤-크(×) shoe 슈(○)슈우(×)

 

 

 

 

fashion 패션(○) 팻션(×)

 

(나) 어말 또는 자음 앞의 [ ]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 ]는

‘ㅈ’으로 적는다.

mirage 미라지(○)미라쥐(×) vision 비전(○)비젼(×)

 

(5) 파찰음 ([ts], [dz], [ ], [ ])

(가)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 ],

[ ]는 ‘치’, ‘지’로 적는다.

Keats 키츠(○)키이츠(×)

Pittsburgh 피츠버그(○)피쯔버그(×)

bridge 브리지(○)브릿지(×)

switch 스위치(○)스윗치(×)

(나) 모음 앞의 [ ], [ ]는 ‘ㅊ’, ‘ㅈ’로 적는다.

chart 차트(○) 챠트, 차-트(×)

virgin 버진(○) 버-진, 버쥔(×)

 

(6) 중모음 ([ ], [ ], [ei], [ ], [ou], [ ])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 ]는 ‘아워’로 적는다.

time 타임 skate 스케이트 tower 타워

boat 보트(○), 보우트(×)

 

(7) 복합어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 여 쓸 수도 있다.

Los Alamo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

top class 톱 클래스/톱클래스

나)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1) 표기 원칙

 

(가) 人名, 地名은 原地音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Ankara 앙카라 Gandhi 간디

(나) 原地音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 용을 따른다.

Hague 헤이그 Caeser 시저(○) 케사르(×)

(다) 고유명사의 번역명이 토용되고 있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Pacific Ocean 태평양 Black Sea 흑해

 

(2) 동양의 人名, 地名 표기

 

(가) 중국 및 일본의 人名

중국의 人名:

과거인 -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한다.

현대인 -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 필요한 경우 한 자를 병기.

(나) 일본의 人名: 과거, 현대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 필요한 경우 한자 병기.

 

(3) 중국 및 일본의 地名

 

(가) 중국의 地名: 현재 쓰이지 않는 것 - 우리 한자음대로 표 기

현재 地名과 동일한 것 -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

필요한 경우 한자 병기

(나) 일본의 地名: 과거, 현재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 필요한 경우 한자 병기.

 

(다) 중국과 일본의 地名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東京 도쿄, 동경 京都 교토, 경도

上海 상하이, 상해 臺灣 타이완, 대만

 

(4) 바다, 강, 섬, 산 등의 표기 세칙

(가)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카리브 / 북해 발리 섬 / 목요섬

(나)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홍해 발트 해 아라비아 해

(다) 우리 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타이완 섬 코르시카 섬 우리 나라: 제주도, 울릉도

(라)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

Rio Grande 리오그란데 강 Monte Rosa 몬테로사 산

Mont Blanc 몽블랑 산 Sierra Madre 시에라마드레 산맥

 

 

다. 띄어쓰기

1) 의존 명사: 앞에 항상 수식어를 필요로 하는 명사로서 앞 낱말과 띄 어 쓴다.

 

 

 

아는 대로. 나도 할 있다. 내가 아는 다. 잘난

하는 마다. 내가 말한 를 그가 떠난

cf) 적중률을 비교하는 있어 적중률을 비교하였는

2)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하는 말들,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국장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백군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책상, 걸상

부산, 광주 등지 이사장 이사들

․한 차 한 금 서 집 한

신 두 켤레 북어 한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삼십 제일 삼학

1446 10 9 2대대 16 502

 

3) 수사(數詞)

가) 양수사(量數詞):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수사

(1) 고유어 계통 - 하나, 둘, 셋, 한둘, 두셋 등등

(2) 한자어 계통 - 영(零), 일(一), 이(二), 일이(一二), 삼사(三四)

등등

나) 서수사(序數詞): 사물의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1) 고유어 계통 -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열한째, 열두째 등등

(2) 한자어 계통 - 제일(第一), 제이(第二), 제삼(第三) 등등

 

다) 모든 수사는 단위성 의존 명사 앞에 띄어 씀이 원칙이나, 문맥 상 그 단위성 의존 명사가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엔 붙여 씀이 허용된다.

 

가지를 보면 가지를 안다. 1과(第一課). 가족의 성립

다섯 번째 주의 사항 이것이 다섯번째이다.

 

라)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여(餘)’: 한자로 된 수사 밑에 붙어 그 이상이란 뜻을 나타 내는 말로 수사와 붙이 고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와는 띄어 쓴다.

년 십삼 개 백 명 천

오십 마리 천오백 그루

 

4)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가)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는 띄 어 쓴다.

김양수(金良洙)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수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 우에는 띄어 쓴다.

남궁억 (○) 독고준 (○) 황보지봉(皇甫芝峰) (○)

남궁 억(○) 독고 준(○) 황보 지봉 (○)

나)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이 원칙이나, 단위 별로 띄어 쓸 수 있다.

대한 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

대한중학교(○) 한국대학교 사범대학(○)

다)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중거리 탄도 유도탄(○)

만성골수성백혈병(○) 중거리탄도 유도탄(○)

5) 그 외의 몇 가지 띄어쓰기

가) ‘-ㄹ 뿐’ / ‘-뿐’ / ‘-뿐더러’ / ‘뿐만 아니라’

(1) -ㄹ 뿐: 의존명사로 보통 ‘-ㄹ’뒤에 띄워 쓴다. ‘-따름’의 용례와 같다.

울 뿐(따름)이다. 아까울 뿐(따름)이다.

근처를 맴돌 뿐(따름)

 

(2) 뿐: 접미사로 앞 낱말에 붙여 쓴다.

이것이냐. 둘이다.

 

(3) -뿐더러: 접미사. 앞 낱말에 붙여 쓴다.

뿐더러

 

(4) 뿐만 아니라: ‘-ㄹ’과 함께 쓰이는 접속 부사. 앞 낱말과 띄 어 쓴다.

그러할 뿐만 아니라

 

나) - 동안: 명사로 앞 낱말과 띄어 쓴다.

살아있는 동안에 4년동안

 

다) -부터(-까지): 조사로 앞 낱말에 붙여 쓴다.

처음부터까지 1960년부터 20년 동안

 

라) - 만큼 / - 만큼

(1) ‘-ㄹ’이나 ‘-ㄴ’ 밑에서: 「실컷」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 사로 띄어 쓴다.

싫증이 날 만큼 먹다. 배운 만큼 득이다.

 

(2) ‘는(은)’, ‘느(으)니’ 밑에서: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뜻하는 의존 명사로 띄어 쓴다.

그가 갔으니 만큼 네가 열심히 해야 한다.

 

(3) 체언(명사,대명사) 밑에서: 그말과 거의 같은 한도․수량을 나타내는 조사로 붙여 쓴다.

누구나 너만큼은 할 수 있다.

출산력만큼 사망률만큼

 

마) -대로 / -대로

(1) ‘-ㄹ'이나 '-ㄴ' 밑에서: 의존 명사로 띄어 쓴다.

될 대로 되라. 출산력이 느는 대로

 

(2) 체언 밑에서: 부사격 조사로 붙여 쓴다.

그대로 두어라. 나는 나대로 하겠다.

 

바) -마다: 낱낱이 다 그러함을 나타내는 조사로 체언에 붙여 쓴다.

날마다 조사를 하는 해마다 인구가 늘 때마다

 

사)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그때 그곳(○) 그 때 그 곳(○)

좀더 큰 것(○) 좀 더 큰 것(○)

이말 저말(○) 이 말 저 말(○)

한잎 두잎(○) 한 잎 두 잎(○)

 

아) 다음 말들은 부사로 보고 모두 붙여 쓴다.

곧바로 곧잘 더욱더 더한층 똑같이 또다시

제아무리 좀더 다름아니라 덮어놓고 보다못해

왜냐하면 이를테면 적지않이 제멋대로 하루빨리

오래간만에 하루바삐 한시바삐 그런고로 아니나다를까

 

라. 기타 표기의 원칙

 

1) 두음법칙: 단어 첫머리의 한자음이 다른 음으로 발음되는 현상

 

한자음 ‘녀, 뇨, 뉴, 니’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

‘여, 요, 유, 이’

‘야, 여, 예, 요, 유, 이’

가)

 

 

여자(女子) 요소(尿素) 유대(紐帶) 익명(匿名) / 양심(良心)

역사(歷史) 이발(理髮) 유행(流行)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 리(里): 몇 리냐? 리(理): 그럴 리가 없다.

 

나)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남녀(男女) 당뇨(糖尿) 은닉(隱匿) 개량(改良) 혼례(婚禮)

하류(下流) cf) 연 3회(年三回) 매년(每年)

 

다)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 의 첫소리가 ‘ㄴ’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라)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다만: 모음이나 ‘ㄴ’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 로 적는다.

비율 백분율 출산율 선열(先烈)

적중률(的中率) 사망률 해독률(解讀率)

 

2) 사이시옷 표기의 원칙

가)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귓밥 선짓국 쳇바퀴 잇자국 부싯돌 아랫니 바닷가 베갯잇 나뭇잎

모불 쇳조각 댓잎 냇물 잇몸 깻묵 깻잎 냇가 찻집 조갯살 못자리

자릿세 아랫방 귓병 탯줄 샛강 핏기 찻잔 곗날 제삿날 머릿방

횟가루 툇마루 예삿일 훗날 텃세 양칫물 가욋일 햇수

 

cf) 다음의 단어들은 의미를 구별함이 없어, 한 가지 형태만 을 표준어 삼는다.

둘째(○) 두째(×) 셋째(○) 세째(×) 넷째(○) 넷째(×)

 

나) 다음 6개의 한자어 외에는 한자 합성어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고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cf) 대가(對價)(○) 댓가(×)

대구법(對句法)(○) 댓구법(×)

 

3) ‘-던(지)’ / ‘-든(지)’

․ -던(지):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

깊던 물이 얕아졌다. 얼마나 무서웠던지 생각하기도 싫다.

․ -든(지): 물건이나 이르이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및 어미

조사 -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어미 - 어는 것을 선택하든지 결과는 같다.

 

4) ‘-요’ / ‘-오’

․ -요: 가) 연결형 서술격 조사

이것은 배요, 저것은 감이다.

나) 「하오」할 자리에 쓰이는 의문형 및 종결형 어미

이것이 고양이요? 그것은 호랑이요.

다) 설명어의 어미에 존대나 주의를 끌게 하는 보조사

눈이 와요. 몰랐는 걸요. 좋지요.

․-오: 일반적인 의문․명령 및 설명형 종결 어미

어디로 가오? 저리 가시오. 하십시오.

 

5) 부사화 접미사: ‘이’, ‘히’의 용례

그득히 가득히 꼼꼼히 분명히 쓸쓸히 딱히 간간이 겹겹이

곳곳이 땀땀이 번번이 샅샅이 짬짬이 뜨뜻이 깊이 괴로이

기꺼이 나날이 곰곰이 생긋이 히죽이 높이 적이

더욱이(○) 더욱이(×) 일찍이(○) 일찍이(×)

 

※ ‘-하다’를 붙여 보아 말이 되는 경우에는 ‘-히’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 판독법이다.

 

 

 

 

 

* 맞춤법에 관하여 의문사항이 있으면, 다음으로 문의하세요!

<국립국어연구원: 771-9909>
 


http://angeldean.blog.me/150090500381




태그 :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