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풀 NEW-제주 … 도시를 디자인하자 … 주거지경관


상업기능 혼재하면서 무질서한 건축물 난립
道 도시경관관리기본계획 정체성 부재 지적
아파트지구·단독주택지구 구분해 개발돼야


◀[사진설명] = 제주시 신제주 상업지구내에 있는 제원아파트 일대는 주거지와 상업지구가 뒤섞여 있어 주거지로서의 특성이 사라져 버렸다(사진 위). 반면 일본에서 조성되는 아파트 단지의 경우는 산과 같은 경관자원을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보행가로와 광장을 조성해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고 있다(사진 아래).


제주시 도심의 주거지 경관은 한마디로 뒤죽박죽이라는게 관련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주거기능과 상업기능이 혼재되다보니 무질서한 건축물이 난립하고 건물색채는 주변 건물과의 조화를 무시한채 제멋대로 칠해져 제주만의 독특한 주거지 문화를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 녹지공간의 절대 부족까지 더해지며 볼품없는 주거지 경관을 보여주고 있는게 현주소다.

주요 조망점인 사라봉에 올라 구제주 일대 주거지를 바라보면 이런 산만한 경관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수 있다.

주거지 경관을 해치는 '주범'인 나홀로 아파트가 단독주택지에서 불쑥불쑥 솟아있고 일자형으로 평행배치된 아파트 단지는 공장인지 아파트인지 구분이 안될 정도다.

관광도시 답지 않게 건물 색채는 난잡하기 그지없고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제주시 주거지에는 나무를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사라봉 주변은 나홀로 아파트와 단독주택, 상업지역이 뒤죽박죽 섞여 전혀 특성이 없는 주거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다양한 모양의 아파트가 옹기종기 모여있는 화북주공아파트가 눈에 거슬리지 않으면서 비교적 아기자기하고 안락한 주거지의 틀을 보여주고 있는 게 위안이다.

일도지구 단독주거단지는 수익성 위주의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주거지의 경관미가 사라진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받고 있다.

수익성만 챙기다보니 일도지구 주간선도로변은 상업용도로 이용되고 있고 이면부의 단독주택 역시 1층에는 근린생활시설이 설치돼 단독주택간의 조화성이나 통일성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일도지구 북쪽은 단독주택으로 구성된 단지 인근에 나홀로 아파트가 들어서 주거지역의 전체적인 스카이라인을 해치고 있다.

신시가지로 넘어가면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신시가지는 주거지 환경으로서 편의성은 좋지만 교육환경적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신제주 상업지구내에 있는 제원아파트 일대는 정말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주거지와 상업지구가 뒤섞여 있다.

주거지 지구와 상업지구의 가장 큰 차이점이 녹지의 확보, 소음, 교육환경 등인데 제원아파트 일대는 이런 점이 완전히 무시돼 주거지로서의 특성이 사라져버렸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개발과정에서 주거지와 상업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게 개발되다보니 상업지에 주거지가 존재하고 주거지에 유흥가 등 상업지역이 개발되는 기형적인 주거문화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업지역이 주거용도로 변형된 경우는 이뿐만이 아니다.

일반 아파트 건축이 제한되는 상업지역에서 편법으로 들어선 주상복합 건물이나 오피스텔은 전체적인 도시경관 뿐만 아니라 거주민들의 삶의 질까지 해치고 있다.

상업지역에 들어선 주상복합 건물은 주변이 개발되면 앞뒤로 꽉막혀 주거공간으로서의 가치는 완전히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는 결국 도심내에 흉물로 전락, 앞으로 도시발전에 복병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이정민 박사는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상업지역이 집중형이 아닌 노선형으로 개발되다보니 상업지역이 주거용도로 변형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이는 제주시뿐만 아니라 서울,분당등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제주도 도시경관관리 기본계획에서는 제주 주거지 경관의 문제점으로 주거지 아이덴티티(정체성)의 부재를 첫 손으로 꼽고 있다. 지역특성에 맞는 고유한 주거지 문화가 없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앞으로 주거지 경관계획은 권역별로 특색있게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를테면 관덕정, 무근성 등 구시가지의 주거지 주변은 비교적 낮은 건축물과 더불어 튀지않는 색채감을 지향하고 사랑봉과 연계된 지역은 오름과 조화된 건축물의 통일성에 맞춰져야 한다는 말이다.

제주대 이병걸 교수는 "앞으로 제주시의 주거지 및 상업지를 개발할때는 각각의 위치조건에 대한 특성을 면밀히 조사해 그에 맞게 블록별로 따로 도시개발을 해야 한다"며 "서부.중앙.동부 생활권으로 나눠 각각의 개성이 나타나는 주거지 계획을 잡아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주거지의 경우 가능하면 연동신가지처럼 아파트지구와 단독주택지구를 구분해 두 종류의 건축물이 동시에 우후죽순처럼 섞여서 개발되는 사례는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